구글 한국 사무실 벽에 붙은 간판
구글 한국 사무실 벽에 붙은 간판


구글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액이 감사보고서에 공개된 것보다 최대 30배나 많다는 주장이 나왔다. 감사보고서에 누락된 수입액을 감안하면 구글코리아에 부과되는 한국 정부의 법인세는 최대 26배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강형주 한양대 경영대학 교수는 지난 10월 5일 서울대에서 열린 한국재무관리학회 연례학술대회에서 ‘외국 플랫폼 기업의 국내 수익과 법인세 추정’을 주제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강 실장은 “지난해 구글의 국내 매출은 10조5000억원으로 감사보고서에 나온 3449억원보다 최대 30배나 많은 것으로 추산됐다”고 말했다. 정부 지출액도 4420억원으로 실제 지급액인 169억원의 26배에 이른다.


강 교수는 먼저 2021년 구글코리아의 매출과 법인세를 추정한 뒤 2022년 추정치를 세 가지 시나리오로 나누었다. 이들 시나리오에서는 2022년 IT산업 성장률 3.3%, 지역경제 성장률 2.6%, 구글코리아 영업이익 성장률 17.96%를 모두 2021년 전망에 적용했다.


2021년 추정치는 올해 초 강 교수가 공동 집필한 ‘글로벌 플랫폼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작성됐다. 본 논문에 따르면 구글코리아의 2021년 매출은 4조원~9조원, 법인세액은 3906억원~9131억원으로 추산됐다. 구글코리아가 실제 신고한 매출액은 2900억원, 법인세액은 130억원으로 이들 추정치보다 훨씬 낮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발표된 수치에 포함되지 않은 수익원으로 인해 구글코리아의 수익이 서류상에 표시된 것보다 훨씬 높을 수 있다는 암시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Google은 싱가포르 아시아 지역의 앱 비즈니스에 대해 소득을 신고하고 세금을 납부합니다. 이는 Google Play 앱 스토어의 서버가 싱가포르에 있기 때문입니다.


강 의원 추정이 정확하다면 2022년 구글코리아 매출은 네이버 8조2200억원, 카카오 법인세는 카카오 2418억원을 넘어선다. 강 교수는 “구글의 한국 내 매출과 법인세는 국내 최대 플랫폼 기업보다 높지만, 감사보고서에 보고된 매출과 법인세는 중소기업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심포지엄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외국 거대 플랫폼 기업에 대한 공정한 과세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대 경영대학 김우진 교수는 “국내에서 구글의 영향력은 어떤 국내 IT 기업보다 크지만 국내 시장에서 얼마나 이익을 내고 있는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규제를 논하기 전에 시장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는 말이 필요하지만 존재하지 않는다.

READ  조선 한식 BBQ 레스토랑, SM 파크 웨이에 두 번째 오버랜드 파크 위치 오픈


유병준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는 “유튜브, 검색엔진 등 구글의 국내 주력 사업은 이미 시장점유율 면에서 국내 기업을 압도하고 있다”며 “공정한 과세를 통한 경제체제를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 국내 플랫폼 기업과 공정한 경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한국과 UAE의 고위 외교관, 양자 협력에 대한 회담

서울, 10월 11일 (연합) — 한국과 아랍에미리트(UAE) 고위 외교부가 11일 두바이에서 양국…

한국은 개를 먹는 것을 금지한다

서울(로이터) – 한국은 동물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가운데 개고기를 먹는 것을…

북한, 관련 사건 이전에 ‘3대혁명’ 운동의 과거 성과 강조

이 사진에서 2021년 11월 14일 평양에 도착한 3대 혁명수뇌부 제5차 대회 참가자들.…

한국 누리 미사일, 상업용 페이로드 인양

KSLV-II로도 알려진 한국의 누리 로켓이 오늘 세 번째 발사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여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