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환기의 ‘우주 5-IV-71 #200(1971)’은 2019년 홍콩 크리스티 경매에서 132억 원에 낙찰된 한국 미술품 경매 사상 가장 비싼 작품이 됐다. 파블로 피카소 레 팜므 알제리(알제리의 여성)가 약 2000억원에 팔렸고, 살바토르 문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에게 5000억원에 매각돼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한국은 피카소가 태어난 스페인보다 경제가 더 발달했고 다빈치의 나라 이탈리아와 비슷한 경제 규모다. 문화는 경제의 거울이라는 말에 왜 경제 규모의 차이가 나는 것일까? 이것은 주로 예술 세계의 구조 때문입니다. 비서구 국가들에게 근대화는 서구화였다. 그들의 전통 예술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여겨졌다. 당연히 그 비서구 국가들의 미술사는 그들에게 순차적으로 제시되는 서구 미술의 역사로 쓰여졌다. 이러한 문화의 통일은 미술시장에도 적용된다. 오늘날의 글로벌 미술계에서 서구의 화랑과 큐레이터는 일종의 인증기관 역할을 하고, 주요 화랑과 경매회사는 작품을 유통한다. 서구 미술계는 미술시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안정적인 작가의 작품 구조, 작품의 갤러리 운영, 수집가의 기반이 형성된다.

반면, 주변국의 기술 생태계는 여전히 불안정하다. 서양 유명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수억 원에 더해 판화로 수억 원대가 비서구 미술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한국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계 10위 경제대국에 힘입어 구매력, 갤러리 규모 등 한국 미술시장의 근간이 높아졌다. 그러나 한국 미술품, 특히 젊은 작가들의 작품은 거의 팔리지 않는다. 한국 미술의 성장 가능성으로 인해 주요 서양 미술관이 국내에 분점을 열었지만, 한국 작가 발굴이 아니라 그들의 작품을 판매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거의 매일 미술품 경매가가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지만, 이 책은 자본주의와 같은 길을 걸어온 미술사를 돌아보고, 한국 미술의 질적 성장을 위해 해야 할 일들을 지적한다. . 경제학과 미술사를 공부한 저자는 한국 미술의 역사를 한국의 자주적 업적의 역사로 다시 써야 한다고 주장한다.

[email protecte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홍수 및 기타 물 관련 재해로 인해 2050년까지 세계 경제에 5조 6000억 달러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2년 8월 9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침수된 한강의 조감도 (연합 제공 로이터) 런던-…

한국은행 총재 “긴축 지속 필요하지만 긴장 조짐 커져”

리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22년 10월 12일 서울 중앙은행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발언하고 있다.…

금호석유화학그룹, 전략적 민첩성으로 경기둔화 극복

기지와 기술…

삼성전자, 일본에 반도체 공장 건설 계획

확장: 업계 관계자는 일본이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해 일본에서 8개의 배터리와 2개의 반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