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병래 산업통상자원부 차관(가운데)이 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한·아프리카 경제협력 민관협력지원단 창립총회에서 참석자들과 단체 사진을 찍고 있다. .  괴롭히다.  (산업통상자원부)

양병래 산업통상자원부 차관(가운데)이 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한·아프리카 경제협력 민관협력지원단 창립총회에서 참석자들과 단체 사진을 찍고 있다. . 괴롭히다. (산업통상자원부)

By 정유연

정부는 14억 인구의 거대한 시장을 갖고 있는 아프리카에서 민관 협력을 통해 상업·투자 사업을 공동으로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한·아프리카 경제협력 민관지원단'을 발족해 아프리카와의 양자 경제협력 발전을 도모한다고 밝혔다. 개발 분야에서. 내년 6월 개최 예정인 한-아프리카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 그룹에는 부처, 경제 기관, 무역 및 투자 지원 기관, 주요 공기업, 산업, 무역 및 자원 분야의 그룹 및 협회를 포함하여 30개 이상의 기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 다른 과제는 정상회담 전 아프리카 54개국과 논의할 주요 협력 의제를 검토하고 협력방안을 결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 그룹은 한국과 아프리카 기업 간의 성과 달성을 위한 민관 공동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됩니다.

아프리카는 인구 14억 명, 국내총생산(GDP) 3조4000억 달러로 엄청난 시장 규모를 갖고 있다. 대륙은 막대한 기초 광물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한국과의 경제적 관계는 여전히 미미하다.

기재부는 지난해부터 경제동반자협정, 무역투자진흥체계 등을 통해 무역협력 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무역과 투자 촉진, 기초금속 공급망 강화를 위한 기관 네트워크 구축에도 힘쓰고 있다. .

올해 7000억 달러 수출이라는 외교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6월 정상회담을 강력히 추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양평래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이번 제1회 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우리는 산업, 무역, 자원 등 모든 분야에서 아프리카와의 경제협력 발전을 위해 협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민주당, 윤 총선 전 전국순회 '불법' 주장

윤석열 총장이 지난 1일 대전시 한 호텔에서 열린 대전시 발전촉진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스푸트니크 COVID-19 백신 생산에 대한 한국의 GL Rapha 인증서

2021년 9월 10일 대한민국 춘천 한국코러스제약 공장에서 직원이 스푸트니크 백신이 든 바이알을…

미·중 경쟁 심화로 ‘요시다 독트린’ 위태로워 – The Diplomat

광고 동아시아에 위기가 닥치고 공산당이 공세에 나서는 것처럼 보이던 가운데, 국공 내전에서…

북한 내각, 경제 활성화 위해 금지품 수출 촉구

화물트럭이 평안북도 신의주에서 중국 랴오닝성 단둥까지 중조우호의 다리로 알려진 철교를 타고 압록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