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비공식 민간시장으로 알려진

장마당으로 알려진 북한의 비공식 민간 시장이 2020년 9월 22일 이 사진에 표시됩니다. 연합

수요일에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민간 시장에서 중국 위안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북한 위안화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북한 경제에 관한 보고서 초안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 사이에 고국을 떠난 탈북자의 약 68.4%가 '장마당'으로 알려진 비공식 민간 시장에서 중국 위안화를 사용했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2000년 이전 탈북자의 6.4%와 비교됩니다. 사회와 통일부 편찬.

첫 번째 그룹의 참가자 중 약 25.7%가 이러한 시장에서 북한 화폐를 사용한다고 답했는데, 이는 마지막 그룹의 81.6%에 비해 크게 감소했습니다.

문건에 따르면 2016~2020년 탈북자의 58.7%가 중국 위안화, 미국 달러 등 외화를 보유하고 있는 반면, 현지 통화만 보유하고 있는 경우는 10.7%였다.

이는 2000년 이전 탈북한 외화보유자 비율이 3.9%인 것과 비교하면 급격한 증가세다. 현금이 없다는 응답자는 53%였으며, 북한 화폐만 갖고 있다는 응답자는 27.4%였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10년 동안 북한 경제가 제재로 인한 경제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식량 배급 등 국가 혜택이 악화되는 등 시장화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통계청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북한 경제는 국제 제재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3년 연속 위축됐다.

통일부는 탈북자 6351명으로부터 입수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달 말 보고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연합)

READ  미국이 수십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을 제치고 한국의 최대 수출시장이 됐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국제통화기금(IMF)은 2024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상향 조정했다.

글 오석민 국제통화기금(IMF)은 글로벌 경제의 안정적인 성장에 힘입어 2024년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한국과 태국이 1차 무역협정 협상을 시작했다.

한국 상무부가 태국과 양국 교역 및 투자 증진을 위한 경제동반자협정 타결을 위한…

국가 통제 하에 있는 시장의 부상

드러난 북한 경제: 국가 통제 속에서 시장의 중요한 역할 수수께끼에 싸인 북한은…

한국과 말레이시아, 경제 관계 확대에 합의

서울, 4 월 1 일 (연합)-한-말레이시아의 고위 무역 관계자는 목요일 신종 코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