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월 10일(연합) — 북한 민간시장에서 중국 위안화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수요일 보고서가 나왔다. 이는 북한 위안화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북한 경제와 사회에 관한 보고서 초안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 사이에 고국을 떠난 탈북자의 약 68.4%가 장마당으로 알려진 비공식 민간 시장에서 중국 위안화를 사용했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2000년 이전 탈북자의 6.4%와 비교됩니다. .통일부 편찬.

첫 번째 그룹의 참가자 중 약 25.7%가 이러한 시장에서 북한 화폐를 사용한다고 답했는데, 이는 마지막 그룹의 81.6%에 비해 크게 감소했습니다.

문건에 따르면 2016~2020년 탈북자의 58.7%가 중국 위안화, 미국 달러 등 외화를 보유하고 있는 반면, 현지 통화만 보유하고 있는 경우는 10.7%였다.

이는 2000년 이전 탈북한 외화보유자 비율이 3.9%인 것과 비교하면 급격한 증가세다. 현금이 없다는 응답자는 53%였으며, 북한 화폐만 갖고 있다는 응답자는 27.4%였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10년 동안 북한 경제가 제재로 인한 경제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식량 배급 등 국가 혜택이 악화되는 등 시장화 경향을 보이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통계청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 북한 경제는 국제 제재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3년 연속 위축됐다.

통일부는 탈북자 6351명으로부터 입수한 정보를 바탕으로 이달 말 보고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보고서: 북한 민간시장에서 중국 위안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020년 9월 촬영된 이 아카이브 사진은 북한의 민간 부문 시장을 보여준다. (연합)

[email protected]
(끝)

READ  오늘의 주식 시장: 연준의 결정을 앞둔 글로벌 주식 다이버전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북한, 어려운 경제 문제 해결과 국방 전략 논의를 위한 당 본회의 개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북한은 적국들과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어려운 경제 개선과…

한국GM, 2025년까지 전기차 10대 출시, 생산은 하지 않는다

한국GM은 ‘플랫폼 이노베이터’로 거듭나기 위해 경쟁력과 수익성에 집중해 비즈니스 모델을 활성화할 예정이다.…

한국 규제 당국은 다음 단계를 다루고 있습니다

한국 최대 온라인 서비스 제공업체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금융 서비스 분야에서 한 발…

Shane은 Douglas C로 설치되었습니다. North Distinguished Professor of Economics – 출처

신영석거시경제와 경제 성장의 전문가인 그는 4월 시상식에서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워싱턴 대학교의 경제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