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5만여 명의 북한 노동자들이 외화벌이를 계속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 노동자들이 남한에 배달할 옷을 만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중국 데일리NK 소식통은 “하반기보다 한국의 의류 생산 주문이 많아 북한 노동자를 고용한 의류 공장도 한국 옷을 만들고 있다”고 전했다.

북한 노동자들이 취급하는 남측 의류는 대부분 등산복, 운동복, 스웨터 등이다.

실제로 한 의류업체의 중국인 매니저는 북한 노동자들이 한국으로 향하는 휠라, 르콕 스포르티프 등 의류 제품을 만들고 있다고 데일리NK에 전했다.

남한의 지시가 없었다면 북한 노동자를 고용한 공장들은 문을 닫아야 했을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그는 한국 제품에 대한 주문이 과거에는 적었지만 7월부터 하도급 주문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2020년에는 북한 노동자를 고용한 공장도 문을 닫으면서 중국의 기업과 공장이 2020년에 COVID-19로 인해 가동을 중단했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하반기부터 공장가동이 정상화돼 올해 주문량이 급증했다.

특히 북한이 받는 낮은 임금이 공장 수주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중국 공장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들의 월평균 임금은 2800~3200위안으로 지난해보다 20~30% 가까이 올랐다.

2017년 중국 지린의 섬유 공장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들
2017년 중국 지린성 방직공장에서 일하는 북한 노동자들. / 사진: DailyNK

그러나 북한 노동자는 중국 노동자의 4분의 1을 벌기 때문에 중국 기업도 북한 노동자를 선호한다고 한다.

수수료 제조에 종사하는 중국인 근로자는 월 8,000-12,000 CNY($1,250 – 1,875)를 번다.

2017년 12월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397호는 해외에서 소득이 있는 모든 북한 주민을 2019년 12월까지 송환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은 코로나19 우려로 국경이 폐쇄된 이후 북한 노동자들을 해외로 돌려보내지 않고 있다.

실제로 당국은 러시아, 몽골 등 해외로 파견되는 신규 근로자 수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적극적으로 외화벌이에 활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중국으로의 한국 의류 주문을 북한 의류 공장에 하도급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북한이 국경을 폐쇄한 이후 원자재 수입과 완제품 수출이 제한되면서 이러한 관행은 거의 완전히 종식됐다.

READ  '20 일 연속 '서울 3 자리 확인 ... 6 일 200 명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북한 뉴스: 생존자, 김 위원장이 크리스마스에 기독교인 사냥을 위해 보낸 사형집행팀 공개 | 세계 | 소식

북한에서는 김 왕조를 숭배하는 것 외에 다른 어떤 종교도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Blaize는 Korea Telecom과 협력하여 산업 및 기업 고객에게 AI 혁신을 제공합니다.

엘도라도 힐스, 캘리포니아 – (작동 와이어) – Blaize®는 오늘 한국의 선도적인 인공…

종전선언의 세 가지 의미

종전선언의 세 가지 의미 – Korea Times 의견 2021-10-11 16:26 종전선언의 세…

한국, 인도 관광객 무제한 여행 재개

뉴 델리: 문화관광부 산하의 대한민국 관광부문인 인도 주재 한국관광공사(KTO)가 모든 인도 여행자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