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코리아 헤럴드와 아프리카 대사 그룹이 주최한 아프리카 데이 비즈니스 포럼에서 아프리카 대사들과 한국 무역 전문가들이 한국과 아프리카 양국 관계의 경제적 잠재력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지난 목요일 카이스 다라지 주한 튀니지 대사가 서울에서 진행한 패널 토론에서 그들은 아프리카 국가에 대한 더 많은 투자 유치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홍선영 한국수출입은행 부행장은 중국, 인도, 베트남 등이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를 통해 성장을 이룬 비결을 설명하며 아프리카 국가들의 인프라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을 당부했다. ).

현재 전 세계 외국인 직접 투자의 약 70%가 개발도상국으로 돌아가고 있지만 그 중 아프리카는 5% 미만입니다. 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가 95%를 차지한다고 홍씨는 말했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지속적인 재정 적자, 낮은 생산성, 일자리 부족, 인재 유출 등의 악순환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해외직접투자가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홍 총리는 또한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프로그램인 대외경제협력기금(대외경제협력기금) 활용을 고려할 것을 권유했습니다. 이 기금은 최대 40년 동안 0.2%의 낮은 이자율을 제공합니다.

이광복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공사 도시부동산개발처장은 공적개발원조와 민·관 재원을 결합한 ‘블렌드 재원 정책’을 강조했다.

이 총리는 “대기업이 아프리카에 위험한 투자를 하기를 바라기보다는 투자자 친화적인 지원 패키지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패키지는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지만 이는 최소한의 인센티브에도 “매우 반응하는” 민간 기업을 유치하는 방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김영상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외부배출감축팀장은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들은 잠재적인 협력을 위해 프리미엄 소비재, 바이오의학 분야, 농업 분야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칼레드 압델 라만(Khaled Abdel Rahman) 이집트 대사는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 간의 경제 관계가 아프리카 대륙의 많은 사람들의 삶의 질을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 강조하고, 재생 에너지와 디지털 혁신을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추가 협력의 핵심 분야로 언급했습니다. – 코리아헤럴드/ANN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MFAT의 한국 무역 및 경제 업데이트

외교부 한국 브리핑을 다시 게시한 것입니다. Part 2를 포함한 원본 버전은 여기.…

한국, 1분기 공기업 직원 1만명 이상 감원

강윤성 작사 세종, 4월 20일 (연합) — 한국의 기획재정부는 목요일 경제 불확실성…

한국의 수출 회복은 과거에 비해 더딜 전망

서울(로이터) – 한국 중앙은행은 금요일 발표된 보고서에서 한국의 수출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2분기 한국의 해외직접투자는 2.7% 감소했다.

서울, 9월 13일(연합뉴스) –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2분기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