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부산 해안 도시의 부두에 선적 컨테이너가 있습니다.
대한민국 부산 해안 도시의 부두에 선적 컨테이너가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2.2%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정부와 국제통화기금(IMF)이 전망한 2.2% 성장률과 일치한다. 이는 한국은행 전망치 2.1%보다 소폭 높은 수준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 1월 28일 발표한 '수정된 2024년 한국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연간 실질GDP 성장률을 2.2%로 전망했다. 상반기 2.3% 성장, 하반기 2.1% 성장이 기대된다.


국내 경제가 대외요인에 따라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회복세에 대한 낙관론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연구소는 추정했다.


지난해 11월 동시통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8.9로 6개월 연속 감소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향후 경제 방향을 반영하는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같은 해 4월부터 7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며 99.9를 기록했다.


연구소는 지속적인 높은 물가상승률과 높은 금리로 인해 특정 업종의 소비 회복이 제한되고, 이로 인해 실질 가처분소득이 감소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건설투자의 경우 핵심지표 부진과 부동산사업 자금조달 어려움 등의 이슈로 성장률 둔화가 예상된다.


건설업의 경우 재무성과를 나타내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100 아래로 하락하는 동시에 건설업체의 부채비율도 확대되고 있다. 이는 건설사의 재무건전성과 자금조달 여건을 악화시킨다.


연구소는 부동산사업 자금조달 악화로 건설사들의 자금 압박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올해 건설경기 환경에 대한 인식이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유틸리티 투자는 금리 상승, 부채 누적, 투자심리 회복 지연 등으로 기업의 투자 여력이 악화되는 등 강력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소는 수출 회복에 대한 기업의 인식 개선이 지연되면서 경제 차별화, 환율 변동성 확대 등의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수출은 지난해 4분기부터 긍정적인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 선행지표인 수출전파지수는 50포인트를 기록했고, 체감지수인 BSI는 기준선 100포인트를 밑도는 76포인트를 기록했다.

READ  윤 바이든 정상회담 논의할 백악관 고위관리


지난해 고용률은 실업률이 2.7%, 고용률이 62.6%로 각각 최저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특히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서비스 분야에서는 여성과 노인을 중심으로 차별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만족스러운 수치 지표가 나오지 않는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북한 내각, 시장에서 판매되는 외국 전자제품 단속 지시

데일리NK는 최근 북한 당국이 외국산 전자제품과 국산 전자제품의 현지 판매에 대한 단속을…

한국은 3월 신규 채용이 3년 만에 가장 적었다

구직자들이 4일 서울의 한 고용센터에서 구인광고를 확인하고 있다. [Yonhap] 한국은 높은 기저효과와…

C919 공장과 에어버스가 주도하는 중국 항공 호황은 한국 기업이 '잡아야 할 기회'

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항공 제조업체들은 팬데믹 이후 공급망 재편과 수요 증가…

한국은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칩, 디스플레이 및 배터리에 보조금을 지급할 것입니다.

조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YONH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