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남한은 여전히 ​​대립 중이다.
북한과 남한은 여전히 ​​대립 중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북한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해 남북 간 1인당 소득격차가 최대 30배까지 벌어졌다. 지난해 북한 인구는 남한 인구의 절반 수준이었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3년 북한 주요통계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북한의 실질GDP 성장률은 -0.2%를 기록했다. 제조업은 4.6%, 기타 광업은 1.3%, 농림업은 2.1% 감소했다. 이는 2020년 4.5%, 2021년 0.1% 위축에 이어 3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이다.


지난해 북한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36조2000억원으로 남한 GDP(2조161조8000억원)의 1.7%, 규모는 60분의 1 수준이다. 명목 국민총소득은 36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1인당 국민총소득은 전년 대비 0.5% 증가한 143만원을 기록했습니다. 1인당 국민소득 4249만원인 한국과의 격차는 2021년 28.6배에서 29.7배로 커졌다.


지난해 북한의 총 무역액은 15억9000만달러로 122.4% 증가했다. 국내총생산(GDP)이 1조4000억 달러에 달하는 한국과의 격차는 줄어들었지만 892.2배로 상당한 수준에 머물렀다. 중국은 북한 무역의 96.7%를 차지하는 최대 무역 상대국이다. 이어 베트남(1.0%), 아르헨티나(0.8%)가 뒤를 이었다.


북한의 수출은 93.9% 증가한 1억6천만달러, 수입은 126.1% 증가한 14억3천만달러를 기록했다. 가장 큰 수출 품목은 ‘광석 및 슬래그’로 전체의 28.0%를 차지했고, 주요 수입 품목은 ‘광물 연료 및 광물유’가 36.4%를 차지했다.


북한의 발전용량은 8,270MW로 남한의 1/17에 불과하고, 발전량은 264억kWh, 남한의 1/23에 불과하다. 북한의 농작물 생산량은 451만톤으로 전년도에 비해 4.0% 감소했다. 이 중 쌀 생산량은 207만톤으로 3.8% 감소해 남한 생산량 376만톤의 55.1%에 그쳤다.


지난해 북한 인구는 2,570만명으로 전년보다 9만명 늘었지만 남한 인구 5,167만명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남북 합산 인구는 2021년 7,738만명에서 7,737만명으로 소폭 감소했다. 남북 총인구가 감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의 합계출산율은 1.61명으로 남한의 저출산 추세와 비슷한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북한에서 50 만 명의 반김 조종사를 풍선으로 격추 한 뒤 경찰이 문을 두드렸다

나는53 세의 반체제 인사는 남북한의 지배 기관에 대한 일인 싸움에서 김정은 총독의…

한국-이집트, 4억6000만달러 규모 2·3호선 전동차 제작·공급 협약

카이로 – 2023년 6월 12일: 월요일 김용현 신임 주이집트 한국 대사와 라니아…

선형 요소 + 반사 표면은 한국에서 “Mosensa Sale”을 구성합니다.

Mosensa 판매 중 다중 감각 경험 서울에 기반을 둔 스튜디오 WGNB는 대한민국…

한국 기업 마이리얼트립(Myrealtrip)이 5,600만 달러의 신규 자금을 조달해 여행 붐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South_agency/게티 이미지 마이리얼트립 팬데믹 이후 성장하는 관광 산업을 견인하는 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