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기자 글 할라 부트로스 ~에서 스웨덴
사진 = 할라 부트로스

약 한 달 전, 스웨덴 스톡홀름에 있는 한국문화정보국의 김진성 작가의 <책벌레 이야기> 전시회 개막식에 초청을 받았다. 3월 31일까지 사무실에서 열리는 목공예 박람회입니다. 2월 2일에 다녀왔습니다.

스웨덴 스톡홀름 한국문화정보국에서 열린 김진성의 “책벌레 이야기” 전시.

작가가 직접 작품을 선보이기 위해 한국에서 스웨덴까지 먼 길을 왔기 때문에 이 놀라운 전시를 놓칠 수 없었다. 책을 읽고 갤러리를 방문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나는 이것이 한국에서 김을 만나 그의 작품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유일한 기회라고 생각했습니다. 티켓이 동행 손님을 허용했기 때문에 언니를 박람회에 데려갔습니다. 그녀는 또한 목공예품 전시회를 보고 한국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어 기뻤습니다.

성공적인 전시 내가 방문하는 날(왼쪽) 김진성 작가가 자신의 작품 “Time to Go to the Moon”을 설명하는 모습(오른쪽)

전시는 총 5개의 섹션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우리는 그를 따라가며 그의 작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작가는 한국어로 말했지만 모든 것을 스웨덴어로 번역하는 통역사가 있었다. 행사는 문화 사무소에서 훌륭하게 조직되었으며 모든 직원은 매우 환영했습니다.

“아이디어가 자라는 바위”(왼쪽)와 “비밀의 집”(오른쪽)

이 쇼에는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많은 가상의 인물이 등장했지만 이들은 사람들의 일상 생활을 기반으로 했습니다. 목공예는 곤충, 동물, 우주 등과 같은 많은 추상적인 물체를 보여주었습니다. 100여 점의 작품이 작품 옆 벽에 작은 설명이나 뒷이야기가 적혀 있었다.

각 작품에는 독특한 생물 뒤에 숨겨진 이야기가 있습니다. 김진성 작가의 작품 옆 벽에는 사연들이 게시되어 있다.

전시 투어는 약 50분 정도 소요되었지만, 이 짧은 여행은 환상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과 같았습니다. 김 작가의 설명은 작품 하나하나를 이해하기 쉽게 만들었다. 투어 내내 다른 생각이 나지 않을 정도로 간단하면서도 풍성하게 설명해주셨는데요, 멤버들 각자가 아티스트의 말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언니는 쇼를 좋아했습니다. 특히 각 작품이 자연의 일부를 이야기와 함께 보여주는 것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저에게는 작가의 이야기를 듣고 그의 작품을 보는 것이 특권이었습니다. 그것은 제가 가본 다른 모든 갤러리와는 다르고 예외적이었습니다. “책벌레 이야기”는 3월 말까지 진행되니 이 시기에 스웨덴에 가신다면 이 아름다운 전시회를 꼭 방문해보세요.

책벌레 이야기’는 오는 3월 말까지 스웨덴 스톡홀름 한국문화미디어국에서 열린다.

[email protected]

* 이 글은 코리아넷 명예기자님께서 작성하셨습니다. 우리 명예기자단은 전 세계에서 왔으며 한국의 모든 것에 대한 Korea.net의 사랑과 열정을 공유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대법원, 일본 강제징용 피해자들 배상 판결 확정 : 일간스포츠

인권단체들은 한일 ​​정상화 협정이 피해자들의 정의 추구 능력을 침해한다고 주장한다. 2011년 8월…

한국의 매우 모호한 배출 목표는 득보다 실이 많을 수 있습니다: 전경련

[Photo by MK DB] 한국 기업들은 새로운 에너지원 이외의 검증되지 않은 기술에…

한국갤럽이 2022년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와 노래를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한국갤럽 그는 2007년부터 여론조사를 시작해 매년 연말 전 부문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코리안 콘도그는 솔직히 뉴욕에서 캔자스까지 히트작입니다.

30번째 생일을 앞둔 주말에 Mirena Landry는 “어떤 종류의 새로운 경험을 갈망”했지만 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