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의 | 의견

세계는 인도주의적 재앙을 피하기 위해 북한에 식량 지원, 특히 쌀을 보내야 합니다.

제 아내와 저는 북한에서 왔습니다. 북한의 잠재적인 인도주의적 재난을 피하기 위해 국제 사회에 첫 번째로 권고하는 것은 식량 지원, 특히 쌀 지원입니다.

대북 제재가 북한 정권을 겨냥한다면 쌀을 보내는 것은 북한 주민들을 위한 것이다. 북한의 고위층을 겨냥한 제재 조치를 유지해야 하지만 북한 주민들의 고통을 덜어줄 방법을 찾아야 한다. 수만 명의 북한 주민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쌀을 보내는 것입니다.

쌀은 북한의 모든 시장 가격의 기초입니다. 실제로 쌀은 북한 경제에 실질적이고 근본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시장에서 쌀이 넉넉하면 모든 가격이 안정되지만 쌀이 부족하면 쌀값이 오르고 모든 물가가 오른다. 쌀은 북한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부분으로 사람들이 매일 그것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사람들은 쌀을 위해 살고 죽습니다. 생존을 위한 투쟁은 북한 주민들의 일상 업무의 일부입니다.

김 위원장과 특권층의 독재정권 하에서 쌀 구호품 전달에 대해 정당한 우려가 있는 것도 이해할 만하다. 그러나 국제사회에서 쌀을 보내든 안 보내든 김 위원장과 그의 추종자들의 삶은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북한 엘리트들은 서민들이 먹을 수 있는 식량이 아무리 많아도 먹을 것이 많다. 북한이 굶어죽어도 엘리트들은 먹습니다. 쌀을 보내는 목적은 서민들이 굶어 죽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해외에서 보내온 쌀이 군인들만 쓸까 봐 걱정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북한 군인도 북한인임을 기억하자. 북한 남성은 모두 고등학교 졸업과 동시에 10년의 군 복무를 마쳐야 한다는 법에 따라 의무화돼 있다. 군대에서 10년 동안 급여와 적절한 영양 섭취 없이 강제 노동을 하고 싶어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즉, 북한군 역시 김정일 정권의 체계적이고 만연한 인권침해의 피해자이다.

READ  한국은 1월 3일에 거의 22년 만에 가장 큰 일자리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이 기사를 즐기고 있습니까? 전체 액세스 권한을 얻으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한 달에 단돈 5달러.

반가운 소식은 아이러니하게도 북한의 만연한 부패와 뇌물에 기반한 글로벌 그림자 경제로 인해 특정 그룹의 남용에도 불구하고 쌀이 계속해서 시장으로 다시 유입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쌀이 북한에 도착하면 시장에서 거래되어 자연스럽게 인민들에게 분배될 것이다.

국제사회가 북한 주민들에게만 쌀을 제공한다고 해도 최소한 대량 기아는 ​​막을 수 있다. 국제사회가 북한의 현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인도적 차원에서 행동해야 할 때입니다. 김정일 정권이 쌀 원조를 받아들이도록 계속 설득해야 한다.

세상은 종종 북한 주민들의 생명과 인권은 잊고 김정은과 핵 문제에만 집중하고 있다. 북한에는 김정은과 그의 정권의 핵무기보다 더 많은 것이 있습니다. 2,500만 명의 북한 주민들이 매일같이 끔찍한 인권 만행을 겪으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수백만 명의 북한 주민들이 또다시 굶어 죽는 것을 국제사회가 그냥 지켜볼 수만은 없습니다.

국경 횡단 기구(Border Crossing Organization)의 단 청(Dan Chung) 회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food shortage] 사실이고 너무 늦었을 수 있으며 수만 명의 목숨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LEAD) 한국은 불확실성 속에서 2023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4%로 하향 조정했습니다.

(attn: 이미지 변경, 마지막 5개 단락의 세부 정보 업데이트)강윤성 작사 (서울=연합인포맥스) 4일…

2023년 4분기 가계 및 기업 부채는 한국 GDP의 두 배 이상이다

한국경제는 빚이 많다. 한국의 가계와 기업이 지고 있는 부채 규모는…

조나단 오카무라(Jonathan Okamura): 하와이 한인들의 이야기는 불균형한 경제의 모습을 그린다

1965년 이민 이후 하와이가 관광에 너무 의존하게 되면서 한국인들은 중산층에서 떨어졌고 돌아오지…

외교부 “북한, 아프리카 주재 대사관 폐쇄는 경제적 어려움의 신호”

2021년 4월 20일 중국 랴오닝성 단둥의 북한 영사관에 ​​북한 국기가 펄럭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