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벤자민 카지프 실버스타인

중국과 북한 간 철도가 다시 개통된 지 두 달이 지났다. 아직 그러한 급격한 변화를 완전히 평가할 시기는 아니지만, 국내 시장에서 흥미로운 가격 움직임을 볼 수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전체 차트를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 시장의 석유 및 연료 공급 부족?

북한 3개 도시의 쌀, 휘발유, 경유, 미국 달러, 위안화 평균 시장 가격. NK Econ Watch의 그래프. 데이터 출처: NK데일리.

첫째, 당연하게도 환율이 급등했습니다. 무역 재개의 소식이 전해지면 더 많은 북한 주민들이 외화를 보유하고 해외에서 물품을 수입 및 구매하기를 원할 것이기 때문에 이것은 매우 논리적입니다.

둘째, 디젤 및 일반 연료 가격이 매우 급격하게 상승했습니다. 데일리NK로 메모, 북한의 유가 상승은 국제 유가보다 훨씬 높습니다. 이것은 또한 기업들이 국경 무역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 증가를 예상하여 연료 구매를 늘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음을 감안할 때 전체 증가 규모가 이런 식으로 설명될 수 있을지 확신할 수 없습니다. 경유 가격도 큰 폭으로 올랐는데,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함께 오르락내리락하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다소 이례적이다. (휘발유 가격은 북한 시장에서 가장 변동이 심한 곳 중 하나이며 지정학적 상황에 따라 종종 변동합니다.)

중국의 높은 가격, 디젤과 가솔린 모두에 대한 강력한 기여 요인이 될 것입니다. 위 기사에서 데일리NK가 언급한 또 다른 중요한 요소는 북한 정부가 민간 연료 판매를 제한하려는 움직임으로, 공급업체 사재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급격한 환율 상승으로 연료비도 비싸지지만, 환율보다 유가가 더 빨리 올랐습니다.

중국으로부터의 공급 증가는 연료 가격을 안정시킬 수 있지만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해 북한으로의 배송 비용은 중국에게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READ  2021 MOKKOJI KOREA, 인도네시아 K팝 팬들을 위한 특별 페스티벌 위크 개최 | 소유자

원본 기사 보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중국 관광객들이 경제 활성화를 위해 한국을 다시 찾고 있습니다.

23일 서울 명동 롯데면세점을 방문하기 위해 중국인 관광객 150여명이 줄을 서고 있다.…

대유행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 10억 한국 기업은 거의 두 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

이미지 확대 [Graphics by Song Ji-yoon] 국내 연 영업이익 1조원 이상 기업은…

영부인, 여성 기업가 주간 개막식 참석

이희아 작사 (서울=연합뉴스) 김근희 여사가 4일 여성 기업인의 업적을 기리는 ‘제2회 여성경제인주간’…

양강현 당위원회, 북중 무역 논의

데일리NK는 최근 양강도당 위원회가 북·중 무역 문제를 지역 상인들과 논의했다고 전했다. 양강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