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강구 허산의 길거리 시장, 쌀 파는 사람, 달러 가격, 시장, 시장
자료사진: 양강도 혜산시 거리시장에서 북한 주민들이 물건을 팔고 있다. (© 데일리NK)

북한 당국은 수해 복구 노력의 일환으로 주민들을 동원하고 시장 운영 시간을 제한하는 데 힘쓰고 있다. 시장 활동 제한을 포함한 이러한 조치는 일반 대중이 직면한 경제적 어려움을 더욱 악화시켰습니다.

익명의 소식통은 29일 평안북도 데일리NK에 시장관리소들이 이달 초 내각으로부터 시장 운영 시간을 단축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전했다. 이에 평안북도에서는 장마당이 하루 3시간 이하로 운영되고 있다.

지난달 말까지 공식 시장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하루 8시간 동안 운영됐다. 그러나 당국은 “수해 복구를 위해 낮 동안 최대한 많은 사람을 동원해야 한다”며 갑자기 시장 운영시간을 단축했다.

평안북도 공식 시장 입구에는 수해복구 기간 동안 해당 시장이 오후 5시 이후에 개장한다는 안내판이 게시됐다. 홍수복구 노력이 언제 끝날지 현재로서는 아무도 모르기 때문에 시장 운영이 언제 정상화될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특히 수해 피해가 심각한 의주 연하동시장과 신의주 진선동 시장은 20일 넘게 문을 열지 않아 인근 주민들이 경제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 시장.

일부 상인들은 이른 아침이나 숨은 골목길에서 몰래 물건을 파는 소위 메뚜기 장사를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비공식 시장에 대한 단속은 과거보다 더욱 심해졌다. 실제로 시장 관리 담당자, 경찰, 법 집행팀은 시장 근처에서 불법적이고 등록되지 않은 사업 활동을 정기적으로 표적으로 삼습니다.

정부의 조치는 불만을 불러일으킨다

국민 불만도 커지고 있다. 소식통은 많은 가족이 시장의 경제 활동에 의존하기 때문에 시장 운영 시간을 줄이는 것이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신의주의 한 상인은 남편이 거의 매일 무보수로 일해 남편의 친척과 아이들을 먹여 살리는 일이 전적으로 자신에게 달려 있는데, 시장이 문을 닫으니 더 이상 먹고살 수 있는 것이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

북한 주민들은 장마당 영업시간 단축 조치가 민생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불만도 제기하고 있다. 소식통은 “전국민의 수재복구에 동참을 요구하고 시장을 폐쇄하는 것은 굶어 죽든 말든 당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일 뿐”이라며 “국가가 국민을 생각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다시 한번 드러났다”고 말했다. 조금도.”

READ  한국,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인플레이션과의 싸움 확대

지난달 홍수로 인해 북한과 중국 사이의 무역과 밀수가 차질을 빚고, 북한 내 물품 유통이 어려워지면서 상인들은 시장이 열려도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다.

실제로 신의주와 의주 지역의 정규 시장 노점상에서는 야채, 국수 등 기본적인 식품 외에는 아무것도 판매하지 않습니다. 소식통은 “시장이 열려도 팔 물건이 많지 않아 거래자들이 돈을 버는 데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데일리NK는 북한, 중국 등의 소식통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보안상의 이유로 그들의 신원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이나 질문이 있으시면 [email protected]으로 보내주세요.

한국어로 읽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KDI 경제전망 | 2023.08 업데이트 – KDI –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경제전망

년도 41권 1호40권 4호40권 3호40권 2호40권 1호39권 2호39권 1호38권 2호38권 1호37권…

한-아프리카 정상회담: 아프리카가 교훈을 얻는 데 얼마나 걸릴까요?

“양측은 무엇보다 무역과 투자를 장려하고 이를 위한 제도적 틀 확대를 통해 경제협력을…

(홈) 윤 카자흐스탄과 경제협력 확대 촉구

(수신: 마지막 3문단의 직항 재개 관련 업데이트)글 김은중 작가 아스타나, 6월 12일(연합뉴스)…

값싼 중국산 제품은 한국 경제에 양날의 검이다

3월 24일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 티모의 로고를 휴대폰 화면에 표현한 일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