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순찰대 밀수업자 코로나 바이러스 발병 국경에서 엄격한 휴대 전화 밀수
FILE PHOTO: 2019년 2월 촬영된 양강군 봉수군 국경수비대 검문소(데일리NK)

장마철에 내리는 폭우로 인해 북한이 밀수와 탈북을 막기 위해 중국과 접한 국경에 세운 장벽이 일부 무너졌습니다. 당국은 검문소를 반환하기 위해 시민들을 동원하여 대응했습니다.

20일 양강군 데일리NK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여름 비로 압록강이 범람하면서 혜산 등 접경지역에 세워진 제방 일부가 홍수로 무너졌다.

양강군 당과 인민위원회는 7월 15일 정부기관장 회의를 소집해 이에 응했다. 각 조직에는 월말까지 수리 장벽의 일부가 할당되었습니다.

회의에서 관리들은 또한 더 많은 비상 사태에 대비하여 파괴되지 않은 장벽을 수리하도록 조직에 명령했습니다.

요컨대, 현 당 위원회는 도보 통행이 있는 구역, 즉 잠재적인 탈북자들이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구역이 탈출 경로로 사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구역에서는 장벽 높이가 6미터 이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데일리NK 소식통은 또한 북한 당국이 수리에 들어가는 재료비를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체, 동네 감시단에 전가시키려 하고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지역에 따라 요금이 다르지만 인근 모니터링 장치에 10,000kW를 20,000kW로 올리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많은 북한 주민들은 쌀과 기타 식량 부족으로 인해 점점 더 많은 가족들이 굶주리고 있는 상황에서 당국이 이러한 비용을 사람들에게 전가하는 것을 우스꽝스럽게 생각합니다.

소식통은 “대규모 국경 폐쇄와 여행 제한에도 ‘밀수’, ‘탈북’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정부는 여전히 국경 폐쇄에 필사적”이라고 말했다. “지역민들은 갈수록 관리가 어려워지는 지옥 같은 환경 속에서 나날을 보내고 있는데, 정부는 국민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수단과 제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표면상 질병의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COVID-19 전염병에 대한 강력한 대응에 착수하여 2년 이상 국경을 폐쇄하고 국경에 장벽을 설치했습니다. 2020년에는 우리나라도 명령 정부 방침인 국경에 접근하는 사람은 즉시 발포 마디 없는 잠깐만.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이나 질문은 [email protected]으로 보내주세요.

한국어로 읽기

READ  아버지의 음식을 커뮤니티에 소개하는 새로운 한식당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 2021년 인플레이션 기대치 조정 ECB 의사록 발표

안녕하세요. 한국은행은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시대에 부양책 철회에 나선 아시아 주요 중앙은행이다. 중앙…

북한은 드디어 국영 식료품 점을 열었다.

북한 당국은 마침내 식량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북한이 세운 새로운 식품점을 열었습니다.…

북한 “한국전쟁 종전 촉구하기 시기상조”

서울 (로이터) –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은 한국의 6.25전쟁 공식 종전 요구가 미국의 대북…

러시아 안보 관계자, 북한에 무기 공급 제안

이스탄불 러시아 관리는 수요일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유사한 움직임에 맞서 모스크바가 북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