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원전사업 참가국 선정

이집트 다바(Dabaa)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사진 [KOREA HYDRO & NUCLEAR POWER]

한국은 이집트 엘다바 원자력 발전소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 선정되어 이집트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관련 한국 기술과 전문성을 해외에 알리기 위한 캠페인에서 또 다른 성공을 더했습니다.

다바(Dabaa) 발전소는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알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 협정(Al Baraka Nuclear Power Plant Agreement) 체결 이후 한국의 최대 원자력 수출 계약이 된다.

한국수력원자력(주)에 따르면 한수원은 엘다바(El-Dabaa) 원전 ‘터빈 아일랜드(turbine island)’ 단독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이 프로젝트에서 4개의 1.2GW 원자로가 러시아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모스크바 국영 Rosatom의 자회사인 Atomstroyexport(ASE)가 건설할 예정입니다.

한수원은 한국전력의 자회사인 한수원과 계약을 맺는다. , 터빈 섬의 주요 및 보조 건물의 장비, 자재 및 건설 구매. 터빈 섬에는 원자로에서 생성된 증기로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가 있습니다.

양측은 2월 말까지 협의회가 승인하기 전까지 가격, 조건 등 계약 내용을 협의할 예정이다.

한수원은 이 프로젝트에서 이집트 기업들과의 협력을 확대할 것이라고 확인했다.

2017년 암만 증권 거래소는 이집트 원자력 발전소 당국(NPPA)으로부터 이집트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 요청을 받았습니다. 1호기의 완공은 2028년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총 거래 가치는 300억 달러로 추산됩니다.

한수원은 프로젝트 지분 가치를 공개하지 않았다.

한국은 중동에서 원자력 발전소 건설 경험이 있는 유일한 국가입니다. 2021년 4월 바라카 1호기의 상업운전이 시작됐다.

이집트 다바 원자력 발전소 위치 [KOREA HYDRO & NUCLEAR POWER]

이집트 다바 원자력 발전소 위치 [KOREA HYDRO & NUCLEAR POWER]

한국 정부는 체코와 폴란드에서 한수원의 국영 입찰을 통해 원자력 프로젝트의 능력을 전 세계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11월 4일 체코, 헝가리, 폴란드, 슬로바키아가 포함된 비셰그라드 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의 핵 제안을 추진했다.

11월 5일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정재훈 한수원 사장이 피오트르 넴스키(Piotr Nemsky) 폴란드 외교통상부 전략에너지인프라 청장과 회담을 가졌다.

한국 장관은 한국이 내년 3월까지 원자로 계획을 폴란드 프로젝트에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폴란드는 2018년부터 EU 탄소 배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READ  KB 사장과 덴마크 특사, 탄소중립을 위한 금융산업의 역할 논의

폴란드는 2040년까지 총 6기의 원자로를 건설할 계획이다.

크랜베리 타운, 펜실베니아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파리에 기반을 둔 일렉트릭 드 프랑스도 입찰에 참여하고 있다.

체코 공화국은 70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프로젝트에서 Dukovani에 최대 용량 1.2기가와트의 원자로를 건설할 계획입니다.

한수원은 지난해 6월 두산중공업, 다우건설 등 민간기업을 포함하는 ‘코리아팀’을 꾸렸다.

24개의 원자력 발전소를 보유한 한국은 가동 중인 원자로 수 기준으로 세계 6위입니다. 세계원자력협회에 따르면 32개국에서 443개의 원자로가 가동되고 있다.

글 이호정 [[email protecte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한국인 최초로 여우 조연상을 수상한 윤요정

정윤 예 만든 오스카 역사-그리고 그렇게! 한국 영화와 텔레비전의 필수품은 한국인 최초로…

러시아, 이번 주 북한 미사일 시험 발사 여부 조사 중

[1/5]2023년 7월 13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이 사진에서 북한의 알려지지 않은 장소에서…

김 위원장, 식량 위기 악화에 북한 관리들에게 생활 수준 향상 촉구

김정은은 북한 정권이 자칭 “식량 위기”를 통제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관리들에게 북한의 생활…

한국은 2030년까지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 12%를 원한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수요일 한국 자동차 업계와 간담회를 하고 있다. [YONHAP] 정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