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10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한 보행자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표지판 앞을 지나가고 있다. AP통신-연합

글 이연우

국내 출산율이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면서 국내 보험사들의 해외 진출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 기업에게는 타깃 지역 중 젊은 층 인구가 많고, 경제성장 속도가 빠른 동남아 시장이 ‘블루오션’으로 부각된다.

한국보험연구원(KIRI)은 목요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동남아 보험시장은 중산층이 성장하고 인프라가 적극적으로 개선되는 틈새 시장”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중산층의 보험 수요가 보험 시장을 발전시킬 것입니다.”

한국의 낮은 출산율은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신규 고객을 유치해야 하는 국내 보험사, 특히 생명보험사에 큰 부담을 안겨줍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2분기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는 0.7명으로 전년보다 0.05명 줄었다. 이는 해당 기관이 해당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한 이후 또 다른 최저 기록이다.

또한 한국 시장은 이미 생명보험에 가입한 사람들이 대다수인 포화상태에 이르렀다고 판단된다.

금융감독원(FSS)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생명보험사 23개사의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손해보험사 31개사는 이익이 26.6% 증가했다.

케리연구소는 “금융회사가 해외에서 비금융 자회사를 소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려는 당국의 최근 움직임은 긍정적인 진전”이라고 말했다. “최근까지 대형 보험사들의 해외진출은 전략적 선택으로 여겨졌는데, 이제 중소보험사들도 해외진출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현재 베트남, 인도네시아, 중국, 미국 등 11개국에서 11개 보험사가 28개 현지법인과 39개 현지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READ  인프라 계획에서 싱가포르의 GDP 및 월스트리트 최고 기록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Fahmy, MDEC에 한국 기술 대기업인 Naver Corp과의 협력 논의 촉구

서울(9월 5일): 말레이시아 디지털경제공사(MDEC)는 한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기술 기업인 네이버사와 파트너십…

한국, 미국 주도의 새로운 경제 체제에 대한 태스크 포스 구성

(123rf) 서울 상무부는 수요일 미국이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출범 준비에 박차를 가함에…

조 바이든의 북한 남자는 김정권과 대화 할 준비가되어있다

워싱턴 : 조 바이든 대통령의 대북 관계자는 미국이 김정일 정권과 “언제 어디서나”회담을…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다음 세대가 재정적으로 더 나빠질 것이라고 믿습니다.

(게티 이미지를 통한 Gap Arens/NoorPhoto) 올 봄 퓨 리서치 센터(Pew Research Center)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