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중앙대학교 이승주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경쟁은 세계화의 이념적, 제도적 기반의 약점을 크게 드러냈다. 바이든 행정부는 중국을 봉쇄하고 공급망의 약점을 완화하기 위해 생산의 “재생산”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맹국 및 파트너와의 첨단 기술 협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이 주요 국가로 부상한 정책입니다.

2021년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문재인 전 대통령의 정상회담에서 한미 협력 확대의 초석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두 정상은 코로나19를 비롯한 글로벌 도전에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19, 글로벌 경제 회복과 기후 변화. 한미간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는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백신, 항공우주 분야 협력 방안이 발표됐다.

문재인 정부는 양국 간 협력 확대에도 불구하고 지역 전략에 있어 미국과의 협력 강화에 신중한 입장이다. 문재인 정부는 미국 주도의 인도·태평양 전략과의 협력이 반중 동맹 참여로 오인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4자안보대화(Quad Security Dialogue) 가입 결정은 미국과의 양자협력을 지역협력 수준으로 격상시키는 한국의 딜레마를 드러냈다. 문재인 정부는 국가 안보와 경제를 분리하기 위해 전략적 모호성을 추구했다. 문재인 정부는 공식적으로 4중주에 합류하기보다는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한국의 전략적 위치는 중국에 대한 한국의 주요 경제적 의존도와 한미동맹을 안보의 기본 기둥으로 공동으로 고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교역 파트너로서 중국의 경제 성장을 활용해야 하는 한국의 필요성으로 인해 “안보는 미국과 함께, 경제는 중국과 함께”라는 강력한 슬로건이 생겨났습니다. 이는 한국이 중국과의 경제적 유대를 확대하고 미국과의 전통적인 안보동맹을 공고히 하여 국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생각이었다.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2022년 5월 10일 취임한 이후로 문재인 대통령의 전략적 모호성에서 벗어나 경제와 안보의 통합을 추구해 왔다. 그의 새로운 외교 정책 기조는 부상하는 안보 위협으로 인한 불확실성,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지역 외교 강화, 더 나은 글로벌 경제 관리를 통한 첨단 기술 경쟁 추구에 중점을 둡니다. 윤 정부는 한미동맹을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격상시키려 한다.

READ  한국의 디지털 경제는 이제 유사한 사이트로 덮여 있습니다.

2022년 5월 한미정상회담에서 한미관계의 변화를 발표했다. 바이든 전 부통령의 방한은 윤 전 대통령이 새 청와대에 취임한 지 불과 11일 만에 이뤄져 한미 관계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4중주에 대한 한국의 입장은 2022년 4월 당시 윤 당선인이 워킹그룹에 한국의 참여를 계속 약속하면서 새 정부가 초청되면 4중주 가입을 호의적으로 검토할 것임을 분명히 함으로써 바뀌었다.

윤 정부가 워싱턴의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공동 출범을 발표하자 한국의 IPEF 가입 결정이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을 저해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졌다. 비평가들은 이것이 한국의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의 가혹한 현실을 무시했다고 주장했지만, 그 결정은 한국의 외교 정책을 전략적 모호성에서 전략적 명확성으로 전환시켰다.

결정의 핵심은 중국의 경제적 압박의 위험을 관리하기 위한 로비였습니다. 한국은 ‘안보와 미국, 경제와 중국’을 ‘안보와 미국, 경제와 세계’로 바꿨다. IPEF는 한국이 다양한 관심 분야를 다루는 다양한 정책을 결합한 정교한 경제 거버넌스 스타일을 추구하도록 요구하는 새로운 기회와 도전을 제시합니다.

한국은 디지털 경제, 기후 변화, 탈탄소화 및 반부패를 포함한 새로운 문제를 관리하기 위해 지역 규칙 기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미국의 필수 동맹국임을 재확인했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전략적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은 인도태평양 지역이 자기경쟁의 소용돌이에 빠지지 않도록 포용적 지역적, 세계적 질서 구축을 주도해야 합니다.

IPEF는 새로운 문제에 대해 높은 기준을 설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지만 한국은 서로 다른 이해 관계와 능력을 가진 지역 국가 간의 중재에 유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개발도상국에 디지털 경제, 기후 변화 및 COVID-19의 새로운 표준을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중견국 외교가 따라야 합니다.

한국은 전략적 유연성을 추구해야 합니다. 전략적 명확성은 외교 정책의 예측 가능성, 투명성 및 일관성 측면에서 이점이 있지만, 전략적 명확성에 대한 명시적 초점은 과도한 불확실성의 시대에 외교적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새 정부는 한국의 외교 정책에서 전략적 모호성과 전략적 명확성 사이의 역사적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결합하여 전략적 유연성을 모색해야 합니다.

READ  삼성, 갤럭시 노트 시리즈 종료, Z 폴드 시리즈로 초점 이동

이승주 중앙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한국 정부는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실행할 수 있을까?

사설 2023년 1월 20일 12:54 일본 표준시 주목할 점은 이전 정부에서 풀지…

한국 스타트업, CES에서 미국 사업 확장 모색

기술 박람회 기간 동안 한국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한국전자통신협회(KEA)는 한국관을 운영해 해외시장에서 기술력을 갖춘 중소기업을…

국내 외교를 통해 북한과 소통하다

태평양 너머로 보기 | 외교 | 동아시아 국내 외교는 미개척일지라도 미국 관리들이…

머니 습격: 한국 – 경제 공동 구역 시즌 2가 2022년 8월 Netflix에 제공되나요?

넷플릭스 출시 돈 습격: 한국 – 공동 경제 지역 6월 24일. 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