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과 원화 더미, 길거리를 걷고 있는 한국인들의 모습이 복합된 이미지는 복합적인 요소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를 상징한다.
서울 도심과 원화 더미, 길거리를 걷고 있는 한국인들의 모습이 복합된 이미지는 복합적인 요소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를 상징한다.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3년 반 만에 처음으로 100%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고금리 환경이 장기화되면서 부채 거품이 어느 정도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국제금융연구소가 9일 발표한 세계부채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8.9%로 유로존을 포함해 조사 대상 34개국 중 가장 높다. 올해. 년도. 이어 홍콩(92.5%), 태국(91.8%), 영국(78.1%), 미국(71.8%) 순이다. 한국은 2020년 코로나19 사태 이후 4년 넘게 1위 자리를 지켰다. 낮은 가계부채 비율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아직까지 ‘불명예’ 위상을 흔들지 못하고 있다.


2020년 3분기 100.5%로 100%를 넘었던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비율은 3년 반 동안 처음으로 90%대로 떨어졌다. 가계부채가 105.5%로 최고조에 달했던 2022년 초 유동비율은 6.6%포인트 낮아졌다. 이 비율이 100%를 넘으면 가계부채가 해당 국가의 경제 규모를 초과한다는 뜻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한국의 감소폭은 홍콩(-3.8%포인트), 영국(-3.5%포인트), 미국(-2.8%포인트)에 이어 네 번째로 컸다. 이는 우리나라 가계부채 비율의 뚜렷한 개선 추세를 보여주는 것이다.


하지만 가계부채비율이 안정적인 수준에 도달하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 많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누적된 가계부채가 GDP의 80%를 넘으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커진다. 중앙은행은 경제성장과 금융안정을 위해서는 가계부채를 20%포인트 정도 줄여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 중인 국내 부동산 집중 문제가 걸림돌이다. 주택담보대출, 임대대출 등 주택 관련 대출이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이러한 대출을 갑자기 줄이는 데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한편, 민간부채의 또 다른 기둥인 기업부채의 증가세는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1분기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금융 기업부채 비율은 123.0%로 지난해와 변함없이 주요국 중 4위를 기록했다. 높은 이자를 지급하면서도 ‘빚을 진 기업’이 줄지 않았다는 뜻이다. 한국 외에 비율이 더 높은 국가는 홍콩(261%), 중국(170.6%), 싱가포르(127.2%) 순이다.

READ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경제협력 확대에 합의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미네소타는 지금 느린 성장의 미래에 대해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한국에 물어보세요

미네소타가 노동력 및 인구통계학적 갈등과 경쟁하는 다른 지역과 차별화될 수 있는 한…

인공지능 모델은 북한 및 기타 고립 국가의 경제 상황을 추정합니다.

2016년과 2019년 북한 원산의 위성사진. 글로벌 팀이 공개된 위성 이미지를 통해 방문하기…

최고의 한국 여성 아티스트가 K-POP 슈퍼그룹 Girls On Top을 결성합니다.

걸스 온 탑(Girls On Top)이라는 새로운 여성 K-팝 슈퍼그룹이 결성되었으며 SM 엔터테인먼트는…

여름 장마의 망령이 한국 경제를 불안하게 하고 있다

지난 화요일 경북 경산에서 폭우 속에 실종된 여성을 응급구조대원들이 수색하고 있습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