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2월 13일 (연합) — 한국 정보국장이 월요일(13일)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제공 제안이 북한을 오랫동안 교착 상태에 빠진 핵협상으로 되돌리는 자극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지원 국정원장은 코로나19를 막기 위한 북한의 엄격한 국경 통제로 인해 북한과의 대화는 고사하고 북한과의 만남이 어렵다고 밝혔지만 북한이 국경을 무기한 폐쇄할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

그는 서울에서 열린 포럼에서 “미국이 좀 더 적극적으로 백신 도입을 제안한다면 북한이 다시 대화를 재개할 수 있는 모멘텀이 생길 수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해부터 엄격한 국경 폐쇄 조치를 취했으며 코로나19가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글로벌 백신 유통 플랫폼인 COVAX 시설은 약 670만 도즈의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을 북한에 할당했지만 북한은 제안된 백신 지원에 여전히 반응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은 대북 인도적 지원을 조율하고 있지만, 은밀한 국가인 북한도 미국이 이른바 ‘이중 잣대’와 ‘적대 정치’라는 체제를 먼저 철회할 것을 요구하며 회담 제의를 피했습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지난 4년 동안 자체적으로 부과한 핵 및 장거리 미사일 실험 금지를 유지한 데 대해 수입을 얻지 못한 것에 대해 분개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북한) 정유 수입, 석탄·광물 수출, 일용 수입 등 민생 제재를 해제하는 데 미국이 어떤 식으로든 관심을 표명하는 것은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화 재개의 증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1950-53년 한국전쟁의 공식적 종전선언을 위한 한국의 추진을 포함하여 공통 관심사에 대한 대화 요구에 북한이 응답할 것을 다시 촉구했으며 “적대 정치”와 “이중 잣대”가 의제 항목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이 10번째로 접어든다. 이는 양국의 동맹을 더욱 강화하는 데 기본이 됩니다.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이 오는 3월 15일 10주년을 맞는다. 양국 교역이 계속되면서 퍼지는 지난 10년…

호주 외무장관, “북-러 방위협정은 세계에 위험하다”

호주 외무장관은 북한과 러시아 사이의 최근 방위 합의가 불안정하고 “세계에 위험하다”고 말했습니다.…

“선한 사마리아인”은 눈보라 속에서 1,609km를 여행하면서 미국인 가족을 구했습니다.

캐나다에서 눈보라로 무너지는 자동차로 곤경에 처한 미국인 가족이 국경에서 찍은 기념 사진과…

SES, 리튬 금속 배터리 상용화 촉진 위해 한국 진출 |

국가 미국미국령 버진 아일랜드미국 작은 외딴 섬캐나다멕시코, 미국 멕시코 미국바하마, 영연방쿠바, 공화국도미니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