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1월1일(연합) — 3분기 한국의 민간지출 증가율은 고금리와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G7(G7) 국가에 비해 훨씬 느린 속도로 증가한 것으로 월요일 자료에 나타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3개월 동안 우리나라 민간소비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 늘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해당 수치가 6.4% 감소한 2020년 4분기 이후 가장 낮은 분기별 성장률이다.

코로나19 규제 완화로 2023년 1분기 우리나라 소비 증가율은 4.6%로 높아졌으나, 통화 긴축과 물가 상승 등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2분기에는 1.5%로 떨어졌다. .

3분기 한국의 민간지출 증가율은 G7보다 둔화됐다.

연합뉴스가 제공한 이 인포그래픽은 민간 소비를 조명합니다. (사진은 비매품입니다) (연합)

소비 둔화는 전 세계적으로 흔한 일이지만 한국의 소비 둔화 속도는 주요 선진국보다 빠르다.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 캐나다 등 G7 국가에서는 7~9월 평균 민간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으며, OECD 회원국에서는 평균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같은 기간 38개국은 1.5%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둔화됐지만 속도가 매우 느린 한국의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소비의 걸림돌로 남아 있다고 지적한다.

아시아 4위의 경제 대국인 중국은 2023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전년도 5.1%보다 느린 3.6%를 기록했으며, 연중 계속해서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에 직면해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지난 11월 물가상승률 목표치인 2%에 도달할 때까지 매파적 정책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7년 연속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했다. 중앙은행은 2022년 4월부터 2023년 1월까지 7차례 연속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email protected]
(끝)

READ  미 하원, 북한에 나포된 USS 푸에블로호 반환 요구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xie xie”라고 말하고 대만을 잊어버리셨나요? 한국의 윤 의원은 중국과의 관계 개선 요구를 무시하기 위해 대중의 불만을 이용하고 있다.

“우리는 간단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시시 (감사합니다) 두 분 모두에게 [mainland] 중국과…

한국은 외국인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공합니다

(서울=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한국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 경기 회복 속에 새로운…

최근 북한의 토양 연구에 따르면 산성화가 심각한 문제로 남아 있음

북한은 심각한 토양 산성화에 시달리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 당국은 토양의 산성도를 중화시킬…

Money Heist Korea 시즌 3 출시일 소문 : 출시 될까요?

이 새 버전의 두 부분 이후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했습니다. Money Heist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