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자 절반 이상이 주 5일 이상 접속

방송통신위원회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은 유튜브다. [REUTERS/YONHAP]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이용자의 60% 이상이 주 5일 이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YouTube는 가장 선호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플랫폼이었습니다.

2022년 6월부터 8월까지 전국 4,287가구, 13세 이상 남녀 6,7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22 방송매체이용실태조사’ 보고서.

응답자에 따르면 조사 대상자의 72%가 어떤 형태로든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69.5%보다 소폭 상승했다. 이들 플랫폼에서 동영상 시청 시간은 하루 평균 1시간 29분으로 95.7%가 주 1회 이상, 60.7%가 주 5회 이상 시청했다.

가장 선호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는 유튜브(66.1%), 넷플릭스(31.5%), 티빙(7.8%), 웨이브(6.1%) 순이었다.

이용자들은 연예인이나 예능 프로그램(67.2%), 드라마(49.6%), 뉴스(31.4%), 스포츠(22.9%), 시사·예능(21.8%) 동영상을 주로 시청했다.

스마트폰으로 시청한 비율은 89.1%로 지난해 92.2%보다 소폭 감소했다. 현재 한국인의 93.4%가 개인적으로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으며 지난 3년 동안 그 수는 거의 변화가 없었습니다. 그러나 기성세대는 스마트폰 소유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0대의 93.8%가 하나 이상 소유하고 있습니다.

TV로 콘텐츠를 시청하는 사람은 지난해 12.4%에서 16.2%로 늘었다.

응답자의 70%가 일상생활에서 가장 필요한 기기로 스마트폰을 꼽았고, 2위인 TV는 27.5%에 그쳤다. 개인용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신문 또는 라디오가 필수적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2% 미만이었습니다.

약 90.1%는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75.5%는 일주일에 5회 이상 TV를 시청합니다. 응답자가 나이가 많을수록 TV를 더 많이 시청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70세 이상은 참여자의 절반인 50.7%만이 스마트폰을 사용했는데, 이는 다른 연령대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전체 가구의 95.4%가 TV를 소유하고 있는 반면, 1인 가구의 경우 이 수치는 90.4%였습니다.

할리 양 [[email protecte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이집트에서 COP27의 중요성은 이행과 적응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 한국 환경부 장관

11월 18일까지 이집트 샤름 엘-셰이크에서 개최되는 유엔기후변화 당사국총회(COP27) 첫 주에 기후변화의 결과를…

한국은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에서 새로운 기록을 수립하고 Omicron을 방지하기 위해 검역 면제를 중단합니다

서울 (로이터) – 당국이 오미크론 유형을 막기 위해 2주간 완전히 예방 접종을…

한국의 세계스카우트캠프에서 우승한 케터링 학생들의 자부심

Imogen Farrell과 Sebastian Tubride. Kettering에서 온 두 명의 학생은 World Scout Camp에서…

Covid Live 업데이트: 글로벌 사례, 백신 부스터 및 최신

상하이의 한 의료 종사자가 2주간의 봉쇄 기간 동안 주민들에게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를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