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산하 싱크탱크가 일요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한국 부자들은 위험부동산보다 현금 보유, 예금 등 안전자산에 대한 지분을 늘리는 경향이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2023년 한국 부자 보고서에 따르면 사회 최고 부자의 현금 보유액과 예금은 평균 187억원으로 전체 자산의 58%로 25억원의 2배가 넘는다. 2021년 100주년.

보고서는 “경기 불확실성에 대비해 보유통화가 늘었다”며 “2022년 기준금리 인상으로 예금 선호도가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2022년 12월 만 19세 이상 국민 201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이뤄졌다.

응답자 중 가구당 1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부자’는 745명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745명 중 가구당 금융자산이 100억원 이상이거나 개인자산이 300억원 이상인 사람이 ‘초부자’로 분류됐다.

2022년 초부자로 분류된 이들은 평균 323억원의 자산을 소유했다.

부동산 자산은 평균 156억원으로 2021년보다 50억원 줄었다. 대신 초부유층의 평균 금융자산은 같은 기간 150억원에서 161억원으로 늘었다.

반면 증시가 둔화되면서 슈퍼리치의 보유주식은 전보다 줄어들어 2021년 16억8000만원에서 2022년 5억2000만원으로 급감했다.

슈퍼리치들은 연평균 12억 원을 벌었다. 소득의 39%는 재산 소득에서 나왔고 사업 소득, 그 다음이 사업 소득이었습니다.

이들은 저축과 대출을 제외한 연평균 4억원을 지출했다. 그들은 여행(24%)에 가장 많은 돈을 썼고, 교육과 의류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보고서는 금융자산이 10억원이 넘는 한국 부유층의 삶도 살폈다. 응답자들의 2022년 자산총액은 평균 72억원이었다.

이 보고서는 주택 시장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부동산은 여전히 ​​부유한 한국인들에게 매력적인 투자 수단으로 남아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부유한 응답자의 84%는 올해 부동산 시장이 더 나빠질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32%는 여전히 부동산을 최고의 투자 옵션으로 선택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영국은 새로운 핵무기에 대해 “한국을 모방”해야 한다: 새로운 핵무기

2023년 11월 17일 원자력에 관한 전당 의회 그룹 보고서, Made in Britain:…

수요 부진으로 글로벌 공장 활동 약세

생활비 상승으로 소비자들이 동요하면서 3월 글로벌 공장 활동이 약화됐다고 월요일 여론조사 결과가…

Fahmy, MDEC에 한국 기술 대기업인 Naver Corp과의 협력 논의 촉구

서울(9월 5일): 말레이시아 디지털경제공사(MDEC)는 한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기술 기업인 네이버사와 파트너십…

우크라이나, 한국에 피해 지역 복구에 동참 촉구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안드레이 예르막(Andrei Yermak)이 러시아군의 행동으로 영향을 받은 우크라이나 지역이나 도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