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국의 계획은 표류 중
국회의원들은 NASA의 노력을 가속화해야 한다

이미 지나친 당파성과 무력함으로 악명 높았던 국회가 국가우주국 창설 등 겉보기에 중요해 보이는 안건을 처리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다시 한 번 비난이 거세지고 있다. 윤석열 정부는 앞서 연내 새 소속사를 설립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지난 3월 실무그룹을 구성해 ‘우주국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 초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관련 법안이 아직 국회 소위에 계류돼 별 진전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부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구상 기관의 세부 사항을 놓고 대립했다. 우선 정부는 신설 기관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로,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 직할로 두는 것을 선호한다. 새로운 기관에 연구개발 기능을 부여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두 사람의 의견이 크게 달랐습니다. 지난달 말 정부가 KDP의 입장을 일부 타협하면서 의제는 난관을 극복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후 협회는 구체적인 노력을 하지 않았다. 이대로라면 국회는 이번 국회 회기 시한인 11월 9일까지 법안을 처리할 수 없게 된다. 법안이 올해 내내 계류될 것으로 예상돼 기관의 운명이 불확실하다는 뜻이다. 더욱이 4월 10일로 예정된 총선을 고려할 때 내년 초 국회 통과 가능성은 희박하다.

민간단체들은 관련 법안의 채택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 한국항공우주산업협회(KAIA)와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KASP)는 11월 1일 성명을 내고 우주국의 즉각 설립을 촉구했다. 성명서는 “항공산업은 미래세대의 꿈이자 희망”이라며 “정치적, 지역적 교섭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선진국을 따라잡을 수 있도록 항공산업을 즉각 설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당은 관련 기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기관의 준비가 늦어지면 현지 항공 부문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선진국의 선도기업, 연구소와의 기술교류를 강화하려는 시도가 점점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점이다. 이는 우주 분야 글로벌 강국을 향한 윤 정부의 야심 찬 계획에도 치명적인 타격을 줄 것이다.

이미 반도체와 자동차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춘 한국은 항공우주 분야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야 합니다. 현재 선진국들은 기업 주도로 항공분야 경쟁력 강화에 서두르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회사인 SpaceX와 Amazon은 달과 화성에 우주 로켓을 발사합니다. 일본의 한 스타트업이 달에 우주선을 발사하고 우주 쓰레기 제거 임무를 띠고 위성을 개발하고 있다. 위성 인터넷 회사인 스타링크는 현재 진행 중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의 전쟁 중에 이미 그 가치를 입증했으며 곧 한국에 상륙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우주는 21세기 미래 산업의 주요 플랫폼으로 등장했습니다.

READ  9 안타를 기록한 케빈, 1 년 3 개월 만에 승리 할 기회

현재 경남 사천과 대전 중 어디에 기관을 설립할지를 두고 여야 간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정당은 이 문제를 총선 전 치러지는 표결만을 고려하여 정치적인 시각으로 판단하는 것을 자제해야 한다. 국회의원들은 나라의 미래와 청년들을 먼저 생각해야 한다. 항공산업 발전을 위해 골든타임을 낭비하는 치명적인 실수를 해서는 안 된다.
(끝)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북한 올림픽 | 글로벌 뉴스 헤드라인

상태 앨라배마알래스카애리조나아칸소캘리포니아콜로라도코네티컷델라웨어플로리다그루지야하와이아이다호일리노이인디애나응캔자스켄터키루이지애나메인메릴랜드매사추세츠 주미시간미네소타미시시피미주리몬타나네브라스카네바다뉴햄프셔뉴저지뉴 멕시코뉴욕노스 캐롤라이나노스 다코타오하이오오클라호마오리건펜실베니아로드 아일랜드사우스 캐롤라이나사우스다코타테네시텍사스유타버몬트여자 이름워싱턴워싱턴 DC웨스트 버지니아위스콘신와이오밍푸에르토 리코미국령…

한국, 국민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3 분기 전기 요금 동결 계획

재원 2023-06-21 10:24…

한국, 출산·육아휴직 보장 OECD 국가 중 5위

한국기업총연합회 깃발 국내 기업의 출산휴가와 육아 수준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가운데…

대한민국의 미래 경쟁력은 LG-SK에 달려있다 : 동아 일보 배터리 분쟁 사후 관리 협약

미국 국제 무역위원회가 수요일 (현지 시간) LG 에너지 솔루션의 편을 들었다. 경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