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신재생에너지 지역 수용 솔루션 선도기업 루트에너지가 200억 원(약 1500만 달러)의 현지 투자를 유치해 국내 신재생에너지 주민참여사업 중 최대 규모이자 국내 프로젝트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투자는 제주도 한림읍 수원리 주민들의 크라우드펀딩으로 이뤄졌다. 이로써 국내 최대 해상풍력단지 제주한림해상풍력은 국내 최초로 정부가 승인한 주민참여 자격을 충족하게 됐다.

한림해상풍력사업은 5.56MW 발전기 18기가 총 100MW의 전력을 생산하는 국내 최대 해상풍력 프로젝트다. 총 사업비 6300억원(약 4억7000만달러) 규모의 이번 공사는 2022년 1월 착공해 2024년 10월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루트에너지는 667명이 넘는 주민을 대상으로 커뮤니티 크라우드펀딩 모델을 시행한 최초의 기업으로, 국내 최대 커뮤니티 투자액 200억 원(인당 평균 3천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번 사례는 지역적으로나 세계적으로 중요한 선례가 되었으며, 인근 발전소에서 창출된 이익을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주민이 신재생에너지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중 주민이 효과적으로 의견을 표현할 수 있다고 평가한 커뮤니티 형태를 선택하기로 했다. 수원리는 한림해상풍력발전단지와 가장 가까운 마을이자 발전소 건설로 인해 경관과 생활양식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지역이기 때문에, 그 혜택을 어떻게 공유할지 주민들이 주체적으로 결정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여하면 수원리 주민들은 해상풍력발전소 완공 시 전력판매 수익금의 일부를 받게 된다. 또한 지역 농수산물 유통, 수평형 마을호텔 건립 등 지역사업 활성화를 위한 이익공유 제도에도 앞장설 수 있게 된다. 수평마을호텔은 낡고 낙후된 마을을 위한 도시재생 아이디어로, 방문객들이 고층 호텔에 머물기보다 지역의 매력에 흠뻑 빠져들 수 있도록 해준다.

윤태환 루트에너지 대표는 “한국이 COP28에서 재생에너지를 3배로 확대해 더 널리 보급하겠다고 약속한 만큼 점차 주민의 생활과 업무 공간에 가까워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주민들이 재생에너지에 대한 필요성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지 않는다면 재생에너지 확대는 어느 순간 한계에 도달하게 될 것입니다. 한림해상풍력의 주민참여 사례는 주민이 주도하는 재생에너지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주민참여를 넘어 지역사회 수용형 기업으로서 루트에너지는 앞으로도 선구적인 주민 신재생에너지 수익공유사업을 통해 지역 상생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READ  (한국 일보 편집, 2 월 25 일)

추가 정보:

라디칼 에너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한국 선수들은 Carnoustie에서 LPGA를 강타한 주요 가뭄을 끝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번 주 스코틀랜드의 역사적인 경기장에서 한국 LPGA 선수들은 잘못된 역사를 만들지 않으려고…

[Herald Interview] 이름 없는 잊혀진 한국 요리법 명명

스포큰컴퍼니 하미현 대표가 17일 서울 연희동 자택에서 열린 코리아헤럴드와의 인터뷰에서 포즈를 취하고…

정부는 중환자 병상 확보를위한 행정 명령을 명령 … “1 % 비어 있음”

그는 2 월 이후 처음으로 사립 병원 병상 보험을 주문했다.정부 “적어도 1…

한인 노인 요양원을 맡는 커뮤니티 그룹

강산 드라는 토론토 집 앞에서 할아버지 김정길의 사진을 들고있다. Galette Rodi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