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8월 27일): 한국 정부는 2025년까지 예산 지출을 5,100억 달러(2조 2,200억 링깃)까지 늘릴 계획이다. 그러나 정부의 재정 규율 강화로 인해 성장 속도는 이전 예상보다 낮지만 말이다.

기획재정부는 어제 발표한 연간 지출계획에서 2025년 정부지출 총액을 677조4000억원으로 2024년보다 3.2% 늘렸다.

이는 올해 증가율 2.8%보다 약간 크며, 이는 2005년 재정통계 개정 이후 가장 작은 증가폭이다. 그러나 당초 예상했던 2025년 증가율 4.2%보다는 낮다.

국토부는 “정부는 미래세대의 부담을 줄이고, 인구 고령화와 경제성장 둔화로 인해 예상되는 중장기적 비용에 대비하기 위해 재정 건전성 제고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보수 정부는 2022년 5월 집권 이후 재정 상황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삼으면서도, 경제성장 둔화에 따른 세입 부진에도 불구하고 잇따라 감세를 제안해왔다.

국토부는 기업이익 증가에 힘입어 세수입이 2024년 6.7% 증가한 데 이어 2025년에도 4.1%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2023년에는 13.1% 감소했다.

정부 전망에 따르면 아시아 4위의 경제 규모는 올해 2.6%, 내년에는 2.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1.4%로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주 청와대와 여당 국민의힘은 중앙은행이 16년 만에 최고 수준의 금리를 유지한 데 대해 이례적인 논평으로 불만을 표시했다.

기재부는 한국의 재정 적자가 2024년 3.6%에서 2025년 2.9%로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GDP 대비 부채 비율은 47.4%에서 48.3%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복지비는 4.8% 늘어난 249조원, 국방비는 3.6% 늘어난 61조6000억원, 연구비는 11.8% 늘어난 29조7000억원으로 예상됐다.

정부는 주요 사업 가운데 공공주택을 사상 최대 25만2000가구 늘리고, 반도체 산업 기관투자에 4조3000억 원의 저렴한 대출을 지원하고, 출산 지원도 늘릴 계획이다.

정부는 국고채 발행 규모를 올해 158조4000억원에서 2025년에는 201조3000억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채권 순증액은 83조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재정 적자를 메우기 위한 발행 계획도 86조7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Lisa Shirin Koshy가 업로드함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제조업 경기 침체 속에 40년 일자리가 10개월 동안 감소했습니다.

(서울=연합인포맥스) 선재규 기자 = 제조업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4월 국내 40대 일자리가…

한국 부채가 3000조원을 넘어 경제적 우려를 낳고 있다.

국내 정부와 가계의 총부채가 처음으로 3000조원을 넘어섰다. (사진=연합뉴스) 서울, 8월 26일 (한국비즈와이어)…

미·중 경쟁 심화로 ‘요시다 독트린’ 위태로워 – The Diplomat

광고 동아시아에 위기가 닥치고 공산당이 공세에 나서는 것처럼 보이던 가운데, 국공 내전에서…

탄소 중립에 대한 UAE의 입장은 칭찬할 만합니다: 아부다비 지속 가능성 주간에서 윤석열 한국 대통령

ABU DHABI: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회의 개회사에서 포스트 오일 시대를 대비하여 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