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6일 촬영된 사진에는 서울 명동 지역의 한 빈 매장 모습이 담겨 있다. 연합

7월 16일 촬영된 사진에는 서울 명동 지역의 한 빈 매장 모습이 담겨 있다. 연합

내수 부진이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 회복을 방해하고 있다고 정부 싱크탱크가 월요일 밝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월간 경제평가 보고서에서 “강한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상이 내수 회복을 지연시키는 등 한국 경제가 제한적인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경제개발지수(KDI)에 따르면 지난해 말 이후 내수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한 579억 달러로 11개월 연속 증가했으며, 정부 자료에 따르면 반도체 매출은 38.8% 증가한 119억 달러로 역대 8월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민간소비를 측정하는 소매판매는 자동차, 휘발유, 준내구재 수요 부진으로 인해 7월 전월 대비 1.9% 감소했다.

전년 대비 소매판매는 2.1% 감소했다.

보고서는 “지속적인 고금리 환경 속에서 소매판매는 여전히 약세를 보이고 있다. 건설투자와 관련 고용에 대한 투자는 주요 지표의 하락세가 장기화돼 내수 회복을 제약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당분간 부진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지난 8월 금리를 거의 16년 만에 최고 수준인 3.5%로 동결했고, 리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내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를 고려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서비스 소비도 주로 숙박과 음식 서비스로 인해 부진했으며, 최근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티몬(TMON)과 위메프프라이스(WeMakePrice)의 결제 지연도 영향을 받았다고 연구센터는 밝혔다.

연구소는 개인사업자의 높은 연체율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꼽았다.

글로벌 경제와 관련하여 싱크탱크는 높은 금리, 지속적인 지정학적 긴장, 주요 국가 제조업 부문의 약화를 적당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주요 하방 위험으로 꼽았습니다. (연합)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한국은 젊은 세대에 초점을 맞춘 방글라데시와 더 깊은 관계를 추구합니다.

이 대사는 수교 50주년을 전후해 한미관계를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미국 은행의 두려움 확대, 금리 상승: 경제 뉴스

이 주간 검거는 경제 및 금융 세계의 최신 이야기를 제공합니다. 최고의 경제…

한국문화원장, BTS의 9억6000만 달러 경제적 효과 언급, 병역 면제 지원 – Manila Newsletter

한국 문화체육관광부(MCST) 장이 그래미상 후보에 오른 K팝 그룹 방탄소년단의 병역 면제 제안을…

북한 공산주의 부흥? -외교관

광고 김정은은 4 월 말에 열린 제 10 차 청년 연맹 총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