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합의는 지난 3월 10일 하노이에서 레민카이(Le Minh Khai) 베트남 부총리와 조경우 한국 총리 주재로 열린 제2차 한-베 경제협력 대화에서 이뤄졌다.

양측은 무역, 에너지, 인프라 건설, 개발 협력, 정보통신-통신, 창업, 투자, 의료, 고용 분야에서 양자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논의된 사항 중 양국은 베트남-한국 자유무역협정(VKFTA)에 근거하여 상호 시장에 대한 제품 수출을 더욱 촉진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양 정상은 LNG-발전, 복합산업단지, 스마트시티 등 베트남 우선 분야에 대한 한국의 투자를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양측은 지식교환프로그램(KSP),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경제개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협력기금(EDPF).

또한 양국의 사회 경제적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관리 솔루션과 인적 자원 활용과 함께 상품 유통, 물류, 은행 서비스 및 의료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Le Minh Khai 부총리는 대화에서 제안된 이니셔티브는 매우 실용적이고 각 국가의 실제 상황에 적합하며 어려움과 장애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양국 간의 경제 협력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두 나라.

그는 양국 무역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여 지난해 양국 무역 규모가 864억 달러에 달했다고 언급했습니다.

현재 베트남은 2022년 대한민국의 무역액이 2021년 대비 약 10% 증가한 약 378억 달러에 달하는 등 교역에서 무역적자에 빠져들고 있다.

카이 장관은 베트남 정부가 한국과의 양자 교역 관계를 더욱 확대해 2023년 1000억 달러, 2030년까지 1500억 달러로 교역액을 보다 균형 잡힌 방향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조경우 부총리는 최근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로의 격상을 통해 경제를 포함한 양국 간 협력 강화를 위한 견고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추 장관은 한국 정부가 베트남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특히 녹색 인프라 건설, 청정에너지 개발, 금융, 농업, 의료,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문화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베트남 투자 확대를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지도자에 따르면 베트남은 유리한 투자 환경과 풍부한 젊은 인력을 갖춘 글로벌 산업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그 결과 베트남에 투자하는 한국 대기업들이 이 지역에 밸류체인을 구축했다.

READ  일본과 한국의 최근 관계 회복 시도의 이면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회담 말미 두 부총리는 경제협력에 관한 베트남과 한국 부총리의 두 번째 대화록에 서명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한국은 개발 틀을 깨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한국은 저소득 경제에서 고소득 경제로 성공적으로 전환한 몇 안 되는 국가 중…

삼성: 삼성이 자랑스럽게 아이폰을 팔 때

그러한 변수에 반비례하는 변수는 거의 없습니다. 스티브 잡스가 한국의 스마트폰과 태블릿이 공개되면…

매일 제국 | 오늘 날짜

누에를 기르는 여인, 한국, 20세기 초. 식민 지배하 농업의 변화를 보여주기 위해…

한국은 9월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컨테이너들이 11월 1일 부산항에서 하역된다. [YONHAP] 한국은 전월의 적자에서 9월 경상수지 흑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