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여러 가지 경쟁 순위에서 한국을 추월했으며 다른 여러 면에서 이미 이웃 국가를 능가했습니다.

2021년 IMD 경쟁력 순위에서 한국은 1994년 32위에서 2021년 23위로 9계단 상승했고, 중국은 1994년 34위에서 올해 16위로 껑충 뛰었다.

2018년 유엔산업개발기구(United Nations Industrial Development Organization)가 만들고 국가의 산업 생산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경쟁 산업 성과 목록(Competitive Industrial Performance List)에서 중국이 2위, 한국이 3위를 차지했습니다.

중국에는 한 국가의 글로벌 경쟁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Fortune Global 500 기업이 더 많습니다. 올해 명단에는 135개 중국 기업이 포함됐다. 한국 기업은 15개에 불과했다.

중국은 지난 30년 동안 다른 많은 주요 경제 지표에서 한국을 능가했습니다.

수년간 중국의 GDP 성장률은 한국을 크게 앞질렀습니다.

1992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의 명목 GDP는 1조6000억 달러로 4.6배 증가한 반면 중국의 명목 GDP는 같은 기간 14조7000억 달러로 29.9배 늘었다.

그 결과 두 지방의 명목 GDP 격차는 지난 30년간 1.4배에서 9배로 벌어졌다.

양국의 1인당 명목 GDP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관찰되었습니다. 한국의 경우 1992년 $8,126에서 2020년 $31,497로 거의 4배 증가했습니다.

1인당 명목 GDP가 1992년 420달러에서 2020년 10,484달러로 2,500%나 증가한 중국의 경우 변화가 더욱 극적이었습니다.

중국의 1인당 명목 GDP는 30년 전 약 5.2%에서 한국의 약 3분의 1로 상승했다.

중국의 급속한 성장은 수출에서도 뚜렷했다.

한국의 수출은 1992년부터 2020년까지 6.7배 증가한 반면 중국은 같은 기간 65.1배 증가한 5조6000억 달러에 달했다.

해외직접투자에서 양국 간 격차도 수년에 걸쳐 벌어졌다.

김봉만 전경련 관계자는 “한국은 중국과의 경제교류를 확대하면서 동남아 등 신흥시장 진출을 통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 강재은([email protected])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한국의 1분기 GDP 성장률은 예상치를 깨뜨렸지만 예측은 불확실하다 By Reuters

글 신시아 김, 이지훈 서울(로이터) – 1분기 한국 경제는 국내 소비 증가와…

유류세 20% 감면 3개월 추가 연장

서울의 한 주유소에 있는 휘발유 펌프.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이…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 참석자들, 경제협력 실무그룹 구성에 합의

(왼쪽부터) 경단련(일본경제인협회) 회장 도쿠라 마사카즈; 지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5월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한국 경제가 계속해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인지를 결정하는 두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송태연 청와대 정책실장이 2024년 4월 25일 청와대에서 올해 1분기 실질GDP 성장률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