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의 일대일 프로그램에 참여해보세요 구총오리그는 또한 NEAR(동북아연구재단)의 설립자이자 회장으로서 1997년 IMF 위기 당시 재무부 차관으로 재직했던 시절을 회고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를 대표하는 수석 협상가로서 한국의 눈부시게 빠른 경제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이 프로그램에서는 위기 이후 25년간 한국의 발전에 대한 정 총리의 성찰과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을 헤쳐나가는 한국 사회와 경제의 궤적에 대한 통찰력을 다룰 것입니다. 이 대화는 한국협회 회장 겸 CEO가 진행합니다. 톰 번.

위기 이후 한국경제: 한국, 미국, 중국의 경제적 상호의존성과 경쟁

2023년 10월 18일 수요일 | 오후 5시(EST)


한국사회
350 매디슨 애비뉴, 24층
뉴욕, 뉴욕 10017


스피커 소개:




구총오리 그는 김대중 대통령 시절(1999~2000)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지냈다. 그는 또한 한국의 선도적인 민간 독립 싱크탱크인 동북아연구재단(NEAR 재단)의 창립자이자 현재 이사장을 맡고 있습니다. 정씨는 1971년 공무원 생활을 시작해 30년 가까이 공무원 생활을 했다. 정 전 차관은 외환위기 당시 국제통화기금(IMF) 수석협상관으로서 한국의 유동성 위기를 조기에 해결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

정 총리는 퇴임 후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 서울대 국제금융센터 소장을 역임했다. 2003년에는 중국 북경대학교의 석좌교수로 임명돼 한국의 경제발전과 개방정책을 강의했다. 2005년에는 베이징에 있는 중국 인민대학교에서 방문 교수로 재직하며 국제 통화 시스템과 위안화의 미래 전망을 가르쳤습니다. 2013년에는 CASS(중국 사회과학원)의 정책 고문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시진핑 집권 초기 중국 정부는 종 주석에게 정부 18개 부처 정책입안자, 관료, 고위 관료들이 참석하는 특강과 학술세미나를 이끌 것을 권고했다. 그는 현재 전략 및 국제학 센터(CSIS)에서 특별 방문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READ  [Battery+] 배터리는 전 세계 탄소의 1%를 배출합니다. 무엇을 완료해야 합니까?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중국 경제 둔화, 아시아 전역에 영향

아시아 태평양 지역 경제에 대한 무료 업데이트를 받아보세요 우리는 당신에게 Myft 데일리…

한국은 인도-태평양을 위한 미국의 새로운 경제 체제를 환영합니다: 상무장관

(디트로이트, 3월 15일) (연합) — 한국은 화요일 인도-태평양 지역을 위한 미국의 새로운…

이번 주 G20 회의에 한국의 재무장관이 실제로 참석합니다.

서울, 2월 16일 (Eance): 홍남기 기획재정부 장관실은 이번 주 G20 주요 경제국(G20)…

화웨이는 사이버 보안과 개인 정보 보호를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칠월. 2021년 14월 설정 비즈앤테크 2021-07-14 08:38 화웨이는 사이버 보안과 개인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