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고금리 부담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으나 한국은행은 가계의 막대한 부채로 인해 금리를 빨리 인하하지 못하고 있다. 증가하는 국가 부채는 또한 정부의 재정 옵션을 제한합니다. 이런 상황은 한국경제가 쉽게 벗어날 수 없는 부채의 함정에 빠졌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어제 한국은행과 국제결제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기업·정부 부채 비율은 251.3%에 이른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정점에 달했던 2020년 4분기 242.7%보다 늘어난 수치이다. 반면 선진국의 부채비율은 같은 기간 319.3%에서 264.3%로 크게 줄었고, 세계 평균도 같은 기간 285.4%에서 245.1%로 줄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까지 기간을 확대해도 우리나라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9년 1분기 67.7%에서 지난해 4분기 93.5%로 크게 늘었다. . 반면 선진국은 같은 기간 비율을 76.4%에서 71.8%로 줄였다. 이러한 역설은 한국의 부채가 가계 소득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2008년 138.5%로 상대적으로 낮았던 한국의 가계부채-가처분소득(DTI) 비율은 2022년 말 203.7%로 상승했다. 반면 선진국의 DTI 중앙값 비율은 164.4%에서 160.7%로 소폭 하락했다. 같은 기간 %.

일각에서는 한국의 부채 위기가 고금리 환경에서 부채를 줄이는 전통적인 접근방식을 피하는 데서 비롯된다는 주장도 있다. 대신, 국가는 부채를 지속시키고 파산한 기업을 유지하는 임시 해결책에 의존해 왔습니다. 한국은행은 “부동산 관련 대출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국보다 금융지원 조치를 장기간 연장한 데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조영준 [email protected]

READ  COVID-19: 9월 27일의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에 대해 알아야 할 사항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한일 양국은 환율의 과도한 변동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약속했다.

최상목 재무장관(왼쪽)이 스즈키 순이치 일본 재무장관과 6월 25일 서울에서 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재무장관은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을 줄이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을 촉구했습니다.

글 오석민 서울, 3월 18일(연합) — 최상목 기획재정부 장관은 월요일 민간소비가 부진한…

한일 기업인, 새로운 경제 산업 협력을 촉진하기로 약속

(서울=연합뉴스) 한일 양국이 최근 해빙 국교를 극대화해 신산업 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경제·통상…

라이베리아 기록이 한국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라이베리아 등기부는 부산에 지사를 개설하면서 한국에서의 입지 확대를 발표했습니다. 몇 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