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건전성 강조로 2023년 한국 성장률 1.4%로 제한

화물컨테이너가 부산항을 가득 채운다. (연합)

2023년 한국 경제는 잠재성장률 약 2.0%보다 낮은 1.4% 성장에 그쳤다. 소비와 수출 둔화와 함께 현 정부가 재정건전성(즉, 긴축재정)에 치중한 탓에 성장률은 이례적으로 저조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23년 4분기 및 연간 실질GDP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우리나라 실질GDP는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 한국 경제성장률이 2% 아래로 떨어진 것은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2020년(-0.7%)과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9년(0.8%)을 제외하면 2000년 이후 처음이다.

특히 한국의 소비와 수출이 부진했다. 민간 부문 소비 증가율은 1.8%(y/y)에 그쳤는데, 이는 2020년(-4.8%)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물가 상승과 고금리로 지출이 위축됐고, 코로나19(COVID-19) 규제가 해제된 뒤 반등한 '보복 지출'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면서 지출이 위축됐다.

수출은 정보기술 부문의 부진으로 3년 만에 최저치인 2.8% 증가에 그쳤다.

정부 지출은 실물경제에서 도심을 펌프질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한마디로 현 정부가 재정건전성을 강조하면서 재정지출이 부진했다는 것이다. 정부지출 증가율은 1.3%에 그쳐 2000년(0.7%) 이후 23년 만에 최저 증가율을 기록했다.

경제성장률은 잠재성장률(2.0% 내외)보다 낮았다. 이는 경제가 원하는만큼 성장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경제여건이 좋지 않은 가운데 정부의 긴축재정 정책으로 성장률이 1%대로 떨어지게 됐다”며 “경제성장률이 잠재성장률보다 낮다면 정부의 정책적 접근을 전면적으로 재고해야 한다는 뜻이다.

작성자: John Saul Gee, 기자

질문이나 의견은 다음 주소로 보내주세요. [[email protected]]

READ  한국, 2023년 외국인 투자가 의무 등록 정책 해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세계 6대 화폐에 원화가 포함될까?

전경련은 특별인출권(SDR) 통화바스켓에 원화를 포함시킨 5가지 이유를 밝혔다.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한국 푸드트럭 불고기소년, 샌안토니오에서 2021년 말까지 폐쇄 | 맛 | 샌 안토니오

사진을 클릭 인스타그램 / 불고기보이 샌안토니오의 Bull Gogi Boys는 올해 남은 기간…

대한민국 수소경제 활성화

2022년 5월 9일 산업통상자원부·중소기업·스타트업위원회에서 수소경제 활성화 및 수소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통과됐다.…

플랫폼 업계에서 네이버와 카카오의 듀오폴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네이버·카카오가 플랫폼 지배력을 이용해 빠르게 확장하고 있어 에너지 남용 방지 대책이 촉구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