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세관이 압수한 중국산 가짜 스마트폰 이어폰 사진.  (사진제공: 서울세관)
서울세관이 압수한 중국산 가짜 스마트폰 이어폰 사진. (사진제공: 서울세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7월 2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 지적재산권을 침해한 모조품 거래액이 13조원을 넘어섰다. “불법 무역과 한국 경제”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는 기술 혁신과 지적 재산 자산으로 유명한 국가인 한국에 대한 위조 제품이 미치는 막대한 경제적 영향을 강조합니다.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세관에서 압수된 한국산 위조품 중 43.9%가 홍콩산, 35.5%가 중국산이었다. 압수된 위조품의 약 80%가 이 두 지역에서 나온 셈이다. 이 기간 세관에서 적발된 위조품의 94.7%가 텔레비전, 휴대폰, 휴대폰 액세서리 등 전기전자제품이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2021년 우리나라 정부는 위조상품으로 인해 약 2조1800억원의 국세수입을 잃었다. 우리나라 지적재산권을 침해한 불법 위조상품 연간 거래액은 96억9100만달러에 달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 6445억4000만달러의 1.5%에 해당한다. ICT 산업에서만 지적재산권 침해로 인해 매출의 13.4%에 해당하는 36억 달러의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전체 제조 부문은 61억 달러의 매출 손실을 입었고, 제조 일자리는 13,500개 감소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소득세와 법인세 수입에서 15억7천만 달러의 손실을 입었다.


OECD 보고서는 한국 경제가 기술 진보와 지적 재산권을 기반으로 한 혁신 분야에서 선도적인 경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조 제품에 직면한 한국 경제의 약점을 확인시켜 줍니다. 보고서는 “한국에서 위조에 대해 부과되는 민사 처벌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다”며 “불법 거래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처벌 수준을 억제 수준으로 높이는 것이 핵심”이라고 조언했다.


OECD 조사 결과는 한국이 지적재산권 침해로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는 ICT 부문과 제조업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히 우려스럽다. 보고서는 불법 거래를 억제하고 한국의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더 강력한 집행 조치와 제재 강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Buhari는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더 많은 한국 투자를 모색합니다

무하마두 부하리 대통령이 2022년 예산 연설을 하고 있다. 무하마두 부하리 대통령은 한국…

중동 갈등과 선거 이후 물가 상승으로 한국의 물가 상승이 예상됩니다.

이란혁명수비대가 이스라엘 영토 내 군사시설을 향해 '수십 대의 드론과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발표한…

한국과 칠레가 20주년을 맞아 경제관계 증진 방안을 논의한다. 자유 무역 협정에서

서울, 10월 12일(연합뉴스) — 한국과 칠레가 목요일 한-칠레 수목무역협정(FTA) 20주년을 맞아 경제·산업…

서울에서 계약 전보다 고용하는 사람이 더 많다

잠실 롯데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전경. [YONHAP] 올해 서울에서 체결된 임대의 절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