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은 한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
무역은 한국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


한국 경제구조가 저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뉴노멀’로 진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가 중국 경기 둔화 등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금리 인상, 유가 상승 등 대외적 어려움도 부각됐다.


24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 7월 우리나라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5% 감소했다. 이는 통계가 집계되지 않은 콜롬비아를 제외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7개 회원국 중 네 번째로 큰 감소 폭이다. 노르웨이는 50.2%로 한국의 -15.5%보다 더 큰 감소세를 보였다. 에스토니아도 19.4% 감소로 더 큰 감소세를 기록했고, 리투아니아도 16.4% 감소해 모두 한국을 웃돌았다.


앞서 한국의 수출 감소율은 전년도 12월 10.1%, 올해 1월 15.8%로 OECD 회원국 중 2위를 기록했다.


가장 큰 원인은 중국 경기 둔화다. 올해 1~7월까지 중국은 한국 전체 무역액의 20.9%, 전체 수출액의 19.6%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주요 수출 품목인 메모리반도체의 중국 수출 비중은 약 45%에 달했다. 중국의 경기 둔화가 한국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구조적인 문제다.


미국 중심의 글로벌 고금리 환경과 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하는 국제유가 상승은 이미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자리 잡았다.


수출 감소, 금리 상승, 유가 지속 등으로 1%대 저성장의 늪에서 벗어나기가 어려워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19일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1.5%로 전망했다. 이러한 전망치는 지난 6월의 전망치와 변함이 없습니다.


반면 주요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상향 조정됐다. 따라서 11월 발표될 OECD 평균 성장률 전망치는 6월 전망치인 1.4%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이런 일이 발생하면 한국은 2021년과 지난해에 이어 3년 연속 OECD 평균 이하의 성장률을 기록하게 된다.


2021년 OECD 회원국의 평균 성장률은 5.8%인 반면, 한국의 성장률은 4.3%에 그쳤다. 마찬가지로 한국의 전년도 성장률은 2.6%로 OECD 회원국 평균 성장률 2.9%보다 낮았다. OECD 가입 이후 성장 선도국이었던 한국은 이제 평균 성장률에도 미치지 못하는 ‘중간 성장’ 국가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다.

READ  카자흐스탄과 한국 간 공동 프로젝트 수 공개


일부 분석가들은 올해 ‘1% 안팎의 저성장 기조’가 한국 경제의 구조적 현실을 반영한 것이지 일시적인 불황이 아니라는 점을 지적한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센터장은 “우리처럼 수출 의존도가 높고 통화정책 수단이 제한적인 나라에서는 금리 인상과 유가 상승으로 인한 충격이 더 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May Also Like

연준 테이퍼링, 금리인상·버블 붕괴 대비 필요: 동아일보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는 채권 등을 사들여 시장 유동성을 줄이는 테이퍼링이 11월부터 시작될…

주 검거 : Hogan은 완전히 허가 된 메릴랜드 주민들은 가면을 잊을 수 있지만 기업과 사법 당국은 정치를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CDC 증거가있는 HOGAN ALIGNS 주 마스크 정책 : 질병 통제 예방 센터가…

부에노스아이레스 타임즈 | K팝 스타 진이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열린 “Magical Night”에서 Coldplay와 함께 공연합니다.

아르헨티나 | 방탄소년단 | 케이팝 | 음악 | 스코리아 | 군사 관련…

베트남은 여전히 ​​저렴한 아파트가 부족하다 | 사업

베트남은 510 만 평방 미터가 넘는 사회 주택을 건설했는데, 이는 2020 년까지…